
[뉴스트래블=손현미 기자] 한국관광공사는 최근 7년간의 기후 및 통신 데이터를 분석해 기후변화가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다.
공사는 2018~2021년과 2022~2024년을 비교해 관광지 유형별 방문객 수 변화를 분석했다. 자연 관광지는 기온 1도 상승 시 6월 기준 방문객이 9.6% 감소했으며, 휴양 관광지는 10월 기준 13.5% 증가해 따뜻한 가을을 즐기려는 수요가 높았다. 반면 문화 관광지는 기온 변화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반응을 보였다.
기후변화로 관광 성수기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벚꽃 개화 시기가 평균 3일 앞당겨지며 3~4월이 봄 성수기로 부상했고, 여름은 8월 중심으로 수요가 집중됐다. 가을은 기온 상승에도 안정적인 수요가 유지됐으며, 겨울은 스키장 운영 기간 단축 등으로 성수기 기능이 약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공사는 이번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가 관광산업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지속가능한 관광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