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찜 특가’라는 미끼로 소비자를 끌어들인 뒤, 노선 운항을 일방 중단했다. 인천~괌 노선은 13년 만에, 다낭 노선도 내년 3월까지 통보 한 마디로 끊었다. 이미 표를 손에 쥔 여행객들 앞에, 제주항공이 남긴 것은 황망함과 분노뿐이다.
▲ 제주항공 여객기. /사진=제주항공
이번 사태는 단순한 실책이 아니라 반복된 배신의 신호다. 올해 들어 3시간 이상 지연된 항공편에 제대로 된 보상 없이 ‘점검’으로 둘러댄 사례도 있었고, 13시간 지연이나 엔진 이상에도 고작 몇 만 원으로 무마했다. 값싼 항공권으로 소비자를 끌어모을 수는 있어도, 배신의 기억은 아무리 세일을 해도 지워지지 않는다.
제주항공은 경영의 어려움을 이유로 소비자와 맺은 약속을 손쉽게 저버렸다. 저가 항공사임을 내세워 신뢰를 희생양 삼는 경영은 시장 퇴출의 사유다. 항공사의 본질은 단순 운송이 아니라 ‘약속’이며, 그 약속을 반복적으로 무너뜨린 기업에 미래는 없다. 신뢰를 잃은 기업은 오래가지 못한다.
이번 사태는 저비용항공업계 전반의 소비자 후순위 관행을 드러냈다. 경영상 불리하면 언제든 노선을 취소하고, 환불 몇 줄로 끝내려는 행태가 구조적으로 고착화되어 있다. 이는 곧 한국 항공산업 전체의 신뢰 기반을 흔드는 독이다.
정부와 감독 당국은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안 된다.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고 계약 파기에 대한 실질적 제재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항공사가 ‘값싼 항공권’이라는 미명 아래 소비자를 희생양 삼는 시대는 끝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