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편집국] 2024년과 2025년, 한국 관광산업은 스스로 발목을 잡는 실수를 반복하고 있다. 명동과 홍대에서 외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미터기를 끄고 12,000원짜리 거리를 45,000원에 부당 청구한 택시 사례, 청주에서 인천공항까지 5분 거리 요금을 6배나 받는 사건, 울릉도·여수·속초 관광지에서 반복되는 음식·숙박·교통 바가지 사례는 단순한 지역 문제나 일회성 사건이 아니다. 이 모든 사례는 한국 관광의 신뢰를 갉아먹고, 산업 전체를 위협하는 경고등이다.
한국관광공사의 ‘관광불편신고센터’ 자료를 보면, 2024년 신고 건수는 1543건으로 전년 대비 71.1% 급증했다. 그중 바가지 요금 관련 신고가 가장 많았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 신고에서 택시 부당요금 및 미터기 미사용 경험 비율은 무려 66.5%에 달한다. 음식점과 숙박업계에서도 비계 위주 돼지고기 제공, 객실 서비스 불량, 성수기 요금 부풀리기 사례가 반복적으로 보고된다. 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닌 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준다. 단속과 지도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미터기 끄기, 요금 부풀리기, 영수증 거부가 여전히 빈번하다. 제도의 허점과 처벌 미약이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다.
관광객에게 바가지 요금은 단순한 불편이 아니라, 여행 전체를 망치는 치명적 경험이다. 한 번 부당한 요금을 경험하면 재방문을 꺼리게 되고, SNS와 외신을 통해 부정적 경험이 급속히 확산된다. 내국인 관광객조차 “한국 여행은 비용 대비 불확실성이 크다”는 인식을 갖게 되며, 결국 산업 전반의 지속 가능성을 흔든다. 2025년 여름, 울릉도와 여수, 속초 등 관광지는 성수기 인파 속에서 음식·숙박·교통 서비스가 부실한 경우가 많아 관광객 불만이 폭증했다. 축제 현장에서는 기념품과 간식 가격이 정가의 두세 배로 책정되며, 관광객과 지역 주민 모두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한국 관광이 직면한 위기는 명확하다. 바가지 요금과 불투명한 서비스는 단순한 민원이 아니라 산업 자해 행위다. 해결책은 명확하다. 가격 표시를 의무화하고, QR코드와 사진·영상 증빙을 통한 신고 시스템을 강화하며, 반복 위반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시행해야 한다. 관광 종사자에 대한 공정 가격과 친절 서비스 교육, 투명한 우수 업체 인증을 통해 ‘클린 관광지’ 이미지를 회복해야 한다.
더 큰 문제는, 이런 구조적 문제를 바로잡지 않으면 관광산업 전체의 미래가 흔들린다는 점이다. 외국인 관광객은 한국을 “부당요금과 불친절이 기본”인 나라로 인식할 위험이 있고, 내국인도 국내 여행에서 만족도를 느끼기 어렵다. 이대로 방치하면, 단기적 수익을 챙긴 일부 상인과 업주만 이익을 보는 대신, 장기적 관광산업 경쟁력과 지역 경제는 모두 손해를 보게 된다.
2024~2025년 데이터를 보면, 바가지 요금 문제는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심화되는 추세다. 지금의 방치와 느슨한 단속은 관광산업의 미래를 갉아먹고 있다. 한국 관광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려면, 기본을 지키고 공정하게 행동하는 것 외에 선택지는 없다. 바가지 상술은 단순 실수가 아니라 한국 관광산업의 자기파괴적 관행임을 정부, 지자체, 그리고 업계 모두 직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