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NT 사설] 불타는 관광, 흔들리는 K-관광

[뉴스트래블=관리자] 전 세계 관광산업이 폭염, 산불, 홍수 등 기후 위기의 충격을 온몸으로 맞고 있다. 영국 가디언은 최근 기사에서 “폭염과 산불, 여행 비용이 휴가 문화를 송두리째 바꾸고 있다(Do heatwaves, wildfires and travel costs signal the end of the holiday abroad?)”고 경고했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2023년 강릉 산불과 2024년 서울 사상 최다 폭염경보일수는 관광 인프라가 기후 위기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한국 관광정책은 외래객 수치와 외화 수익 목표에 집중하면서, 기후 위기 대응에는 상대적으로 무관심하다. 실제로 주요 관광지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야외 관광객 감소, 산불과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 피해가 반복적으로 보고된다. 관광 산업이 경제적 성과만 추구할 때, 자연 환경과 지역 주민은 큰 부담을 떠안게 된다.

 

문제는 대응이다. 지자체와 관광공사는 여전히 대규모 페스티벌과 해양 불꽃쇼 등 탄소 다배출형 이벤트에 예산을 집중한다. '지속가능 관광'을 외치지만, 실질적 조치는 미미하다.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관광지 친환경 관리, 지역 생태 보호 프로그램 등 구체적 정책 실행이 부족하다. 세계적으로도 관광산업의 탄소 배출이 문제로 지적되며, 일부 국가는 관광을 제한하거나 탄소세를 도입하고 있다. 한국은 이런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관광정책은 이제 입국자 수나 외화 수익이 아니라, 기후 대응 능력과 지역 생태 보호를 기준으로 평가돼야 한다. 기후 위기에 취약한 관광 인프라를 점검하고, 저탄소·친환경 관광 모델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 기후 변화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관광 산업 전반을 흔드는 구조적 문제임을 직시해야 한다.

 

관광은 즐거움만이 아니라 책임이다. 기후 위기를 외면하는 정책은 미래 세대에게 큰 짐으로 돌아올 것이다. 한국 관광 정책은 시급히 전환돼야 한다.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성과를 동시에 추구하는 관광 전략이 절실히 요구된다.

포토·영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