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NT 사설] 미국 관광의 추락, 한국의 경고음

[뉴스트래블=편집국] 미국이 ‘관광대국’의 위상을 스스로 깎아내리고 있다. 최근 로이터 통신은 오는 10월부터 미국이 새로운 ‘비자 인테그리티 수수료(Visa Integrity Fee)’ 250달러를 부과한다고 전했다. 이로써 일부 국가의 방문객들은 최대 442달러라는 천문학적인 비자 비용을 내야 한다.

 

이미 지난 7월 해외 관광객 수가 전년 대비 3.1% 감소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뉴욕포스트 역시 외국인 관광객이 200만 명 줄고, 약 40억 달러 손실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관광 대국’ 미국의 추락은 더 이상 가정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이다.

 

원인은 분명하다. 안전과 안보를 명분으로 내세운 과도한 규제와 비용 부담이다. 정책은 ‘보호’를 내세우지만, 시장에서는 ‘배제’로 읽힌다. 관광객은 지갑만 열어주는 존재가 아니다. 이동과 체류에는 심리적 문턱이 작동한다. 그 문턱이 비자 장벽과 수수료라는 이름으로 높아질수록, 관광객은 더 저렴하고 편리한 대안을 찾는다. 결국 미국은 스스로 관광시장의 문을 걸어 잠근 꼴이 됐다.

 

문제는 한국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여전히 관광을 ‘단체 유치 숫자’와 ‘단기 성과’로 평가한다. 무비자 확대, 항공편 증설 같은 규제 완화보다는 단기적 수익 창출에 치중한다. 외국인 관광객에게 ‘소비자’가 아니라 ‘현금 인출기’ 이미지를 씌운다면, 미국의 전철을 밟는 것은 시간문제다.

 

관광은 단순한 산업이 아니다. 문화 교류, 지역 균형 발전, 국가 브랜드까지 연결되는 전략적 분야다. 관광객은 가격만 보고 오지 않는다. 환영받는 경험, 안전한 이동, 투명한 절차,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정책이 함께해야 한다. 미국의 사례가 주는 교훈은 분명하다. “관광객을 돈줄로 보면 돈은 떠난다.”

 

지금 한국은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2025년 이후,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확대, 한류 콘텐츠 확산, 국제행사 유치 등 기회가 줄지어 있다. 그러나 기회를 ‘정책의 역풍’으로 날려버릴 수도 있다. 규제를 풀지 않고, 소비를 쥐어짜려 한다면, 한국 역시 ‘관광 추락’의 경고음을 현실에서 듣게 될 것이다.

 

미국의 추락은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다. 지금 한국 관광 정책의 방향을 가늠하는 바로미터다. 경고음이 울릴 때 귀를 닫는 국가는 미래를 잃는다. 한국은 지금 그 경고를 어떻게 들을 것인가.

 

포토·영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