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관광두레, 예산만 늘린다고 성공할까…현장과 괴리된 전략에 우려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추진하는 ‘관광두레’ 사업이 중장기 육성 전략을 내세우며 지원 확대 방안을 제시했지만, 현장에서는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공개된 '관광두레 중장기 육성 지원 전략 수립' 보고서는 중장기 전략과 연차별 실행 로드맵을 제시했으나, 지역 주민과 운영 주체들이 겪는 현실은 보고서의 청사진과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관광두레 사업은 주민이 주도하는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관광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지원 구조 개선, 정책 연계 강화, 주민사업체 역량 제고 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그러나 일부 현장에서는 “지원이 늘었지만 행정 절차가 복잡하고 성과 체감이 어렵다”는 반응도 나온다.


실제 관광두레 참여 지역에서는 전문 인력 부족, 행정 절차의 경직성, 주민 간 갈등 등이 반복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예산 집행 과정에서 복잡한 정산 절차와 획일적 기준으로 인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미흡하다는 의견이 있다. 한 주민사업체 관계자는 “지원금은 내려오지만 운영 노하우와 컨설팅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말했다.

또한 보고서가 강조한 ‘정책 연계 강화’ 역시 과제로 남아 있다. 관광두레가 문화·농업·복지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될 필요성에는 공감대가 있으나, 부처 간 협업 부족과 유사 사업 간 중복 문제는 현장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관광두레가 단순한 예산 확대만으로는 지속가능한 모델이 되기 어렵다고 말한다. “주민 참여”라는 구호가 실질적 효과를 가지려면, 지역 맞춤형 전략과 현장 중심의 피드백 시스템이 강화돼야 한다는 것이다.


관광두레가 지역관광 혁신 모델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보고서상의 계획뿐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 설계가 요구된다. 예산 확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포토·영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