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9.6℃
  • 맑음서울 15.2℃
  • 맑음대전 17.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8.0℃
  • 구름조금광주 18.4℃
  • 구름많음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17.4℃
  • 흐림제주 18.8℃
  • 맑음강화 13.0℃
  • 맑음보은 15.9℃
  • 맑음금산 17.8℃
  • 구름많음강진군 19.1℃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금단의 여행지–한국편①] 죽은 마을의 시간 … 정선 함백산 폐광촌

불빛이 꺼진 뒤에도, 광부의 숨결은 아직 남아 있었다

 

[뉴스트래블=편집국] 강원도 정선, 함백산 자락의 외진 골짜기. 사람의 발길이 끊긴 마을 골목은 고요 속에서 바람 소리만이 귓가를 스친다. 녹슨 철문이 삐걱거리며 흔들리고, 잡초 사이로 먼지가 흩날린다. 한때 이곳을 가득 채웠던 광부들의 발자국과 아이들의 웃음소리, 갱도 안 망치질과 삽질 소리는 시간 속으로 사라졌다. 이 마을은 공식 기록과 역사 자료에 따르면 1970~80년대 석탄 산업의 중심지로 번영을 누렸지만, 1990년대 초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폐광이 이어지며 인구 대부분이 도시로 떠났다. 남은 것은 무너진 갱도 입구와 철거되지 않은 건물, 그리고 산업화의 흔적뿐이었다.

 

한국광업공사와 정선군 자료에 따르면, 함백산 폐광촌에는 한때 수천 명의 광부와 그 가족이 거주했다. 마을은 단순한 거주 공간이 아니라, 지역 경제와 생활 문화의 중심이었다. 작은 극장과 목욕탕, 상점들이 들어서며 산업과 문화가 공존하던 공간이었지만, 석탄산업이 쇠퇴하면서 마을은 서서히 사람의 발길이 끊겼다. 1991년을 전후로 갱도가 차례로 문을 닫자, 주민들은 도시로 이동했고, 마을에는 적막과 공허만이 남았다.

 

폐허 속을 상상해보면, 스릴과 긴장감이 느껴진다. 녹슨 철문과 무너진 건물 사이를 지나가면서, 바람이 내는 소리마저 누군가 숨을 죽이고 지켜보는 듯하다. 주민 몇 명이 남아 사진과 기록, 증언을 통해 마을의 역사를 전하지만, 그들의 목소리도 바람에 흩날리듯 금방 사라진다. 좁은 골목과 갱도 입구는 과거 번영의 흔적과 현재의 폐허가 겹쳐진, 시간의 틈새 속 금단의 공간처럼 느껴진다.

 

마을에 남은 건물과 시설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다. 녹슨 철문, 깨진 창문,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먼지와 잡초 속에 남아 있는 잔재는
과거 광부와 주민들의 삶과 산업사의 흔적을 보여준다. 공식 기록과 사진, 주민 증언을 기반으로 분석하면, 이곳은 단순한 폐허가 아니라 인간 활동과 산업화의 기억이 공기 속에 스며든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정선군은 최근 일부 폐광촌 공간과 건물을 기록하고 보존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옛 광부 사택 일부는 게스트하우스로 재단장됐고, 탄광 역사 자료와 사진, 생활용품 등이 전시되는 공간도 마련됐다. 자료와 기록에 따르면, 이 공간들은 관광객이 방문할 수 있지만
마을 전체에는 여전히 금단의 공기와 긴장감이 감돈다. 잊힌 골목과 갱도 입구를 마주하면, 누군가 지나간 자리의 흔적과 시간의 무게가 동시에 느껴진다.

 

이 마을의 역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면, 단순한 산업화의 쇠퇴가 아니라 사람과 공간, 기억과 망각이 얽힌 복합적 구조를 볼 수 있다. 광부와 주민이 남긴 흔적은 마을 전체가 하나의 ‘시간 캡슐’임을 증명한다. 사진과 기록 속 공간을 분석하면, 폐허 속에서도 당시 산업화와 생활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으며, 그 속에서 인간이 남긴 흔적과 그 흔적이 남긴 긴장감을 읽을 수 있다.

 

골목과 건물, 갱도 입구를 자료로 재구성하면, 방문하지 않아도 공간의 분위기와 긴장감을 느낄 수 있다. 과거 번영과 현재의 폐허가 겹쳐진 이 마을은 자료 기반 심층 분석만으로도 독자에게 금단의 공간 속 스릴을 전달한다. 불빛이 꺼진 골목과 녹슨 철문 사이로, 산업화의 기억과 인간의 흔적, 사라진 시간의 틈새가 여전히 살아 숨쉰다.

 

폐광촌의 흔적은 단순한 역사가 아니다. 공식 자료와 기록, 사진, 주민 증언을 분석하면, 이곳은 인간 활동과 산업화의 흔적, 시간의 흐름이 중첩된 금단의 공간임이 드러난다. 세월 속에서 사라졌지만, 기록과 흔적을 통해 공간의 긴장감과 스릴은 여전히 전달된다. 함백산 폐광촌은 단순한 폐허가 아니라, 팩트 속에서 살아 있는 금단의 공간이다.

포토·영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