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김응대 칼럼니스트] 10월 초, 중국의 국경절과 중추절이 겹친 8일간의 연휴 동안 8억 명이 넘는 중국인이 여행길에 올랐다. 이 거대한 이동은 단순한 휴가가 아니었다. 그것은 중국 관광산업의 회복을 넘어, 소비력과 인프라, 디지털 기술이 결합된 ‘대이동 경제’의 실체를 보여준 사건이었다.
한국은 이 흐름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다시 중국 관광객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중국 여행객의 절반 이상이 4시간 이내 비행거리를 선호하면서, 한국은 일본·태국과 함께 ‘근거리 여행 3대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씨트립과 페이주 등 주요 OTA가 발표한 인기 여행지 순위에서도 한국은 상위권에 올랐다.
이는 분명한 기회다. 상하이–제주, 베이징–부산 노선은 이미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탑승률을 회복했다. 그러나 단순한 거리의 이점만으로는 부족하다. 항공 노선 확충과 지방 관광자원의 다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은 ‘가까운 나라’에서 ‘가고 싶은 나라’로 다시 자리매김해야 한다.
이번 연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Z세대의 부상이다. 20~30대 청년층이 여행 소비를 주도했고, 대학생 항공권 예약은 전년 대비 63%, 국제선 예약은 110% 증가했다.
이들은 단체 쇼핑 관광객이 아니다. 경험형·콘텐츠형 개별여행객(FIT)으로 돌아온 Z세대는 기억에 남는 체험과 SNS 공유를 중심으로 여행을 설계한다. 한국은 이들의 감성을 읽어야 한다. K-콘텐츠, 지역 로컬문화, 감성소비 콘텐츠를 결합한 맞춤형 상품이 절실하다.
서울·부산·제주를 넘어, 전주·여수·속초 같은 ‘감성 도시’가 이들에게 새로운 목적지가 될 수 있다.
필리핀은 11월부터 중국인 대상 전자비자 발급을 재개하고, 말레이시아·싱가포르도 비자 절차를 간소화했다. 한국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2025년 9월부터는 중국인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제주도는 기존대로 개별·단체 무비자 입국을 유지 중이다.
항공 노선 확대도 활발하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중국 노선을 증편하고 신규 취항을 추진 중이며, 저비용항공사들도 운항 재개에 나서고 있다.
다만, 개별관광객 대상 비자 유연화나 지방공항 노선 확대, 체류경험의 질 개선 등에서는 여전히 과제가 남아 있다. 관광 경쟁은 단순한 입국 허용을 넘어, 얼마나 빠르게 ‘맞춤형 환경’을 구축하느냐에 달려 있다.
중국은 관광을 인프라 중심 산업으로 키우고 있다. 제14차 5개년 계획에 따라 공공 문화공간, 관광 화장실, 스마트 관광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확충됐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관광을 ‘서비스 산업’으로 인식하며 콘텐츠 중심의 대응에 머물러 있다.
이제는 관광을 지역경제의 구조적 성장동력으로 재정의해야 한다. 정책, 기술, 소비가 결합된 시스템을 갖추지 않으면, 한국은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2025년의 중국 관광객은 과거와 다르다. 더 빠르고, 더 자유롭고, 더 경험 중심적이다. 한국이 이 새로운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인프라, 감성 콘텐츠, 유연한 제도가 함께 움직여야 한다.
8억 명이 움직인 중국의 연휴는 하나의 신호다. 한국 관광의 미래 전략은 다시 시험대 위에 올라 있다. 그 시험에 통과할 준비는 지금부터 시작돼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