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퍼포먼스 럭셔리 브랜드 투미(TUMI)가 연말연시를 맞아 ‘기프트 조이(Gift Joy)’ 캠페인을 공개했다. 이번 캠페인은 장인 정신, 목적의식, 섬세함의 미학을 담은 제품을 통해 유행을 타지 않는 선물의 가치를 강조한다. 투미는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브랜드의 시그니처 컬러인 레드와 블랙을 활용한 제품을 선보인다. 대표 컬렉션인 알파(Alpha), 알파 브라보(Alpha Bravo), 보야져(Voyageur), 19 디그리 알루미늄(19 Degree Aluminum) 등에서 해당 색상 조합을 적용해 브랜드 헤리티지를 강조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셀리나 백팩, 더블 익스펜션 사첼백, 저스트 인 케이스 토트, 에센셜 토트 등이 있으며, 기능성과 디자인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이다. 특히 19 디그리 알루미늄 컬렉션은 기내용 캐리어부터 액세서리까지 고급스러운 마감과 실용성을 갖춰 선물용으로 적합하다. 남성용 어리베(Arrivé) 컬렉션과 해리슨(Harrison) 가죽 제품, 여성용 올라스(Olas) 및 에이전트(Agent) 컬렉션도 함께 소개됐다. 벨덴(Belden) 컬렉션에는 메탈릭 실버 색상의 장신구 보관함과 여권 지갑 등이 포함됐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관광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사람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WTTC(세계여행관광협회)의 최신 보고서 「The Future of Work in Travel & Tourism」에 따르면, 2035년까지 관광 분야에서만 4310만 명의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문제는 젊은 세대의 이탈이다. 일자리는 남았지만, 지원자는 없다. 한국도 사정은 비슷하다. 코로나 이후 여행 수요는 회복됐지만, 여행사·호텔·항공사 등 관광 관련 기업의 신규 채용률은 여전히 팬데믹 이전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청년층은 관광업 대신 IT 스타트업, 마케팅 에이전시, 콘텐츠 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여행은 좋아하지만, 여행업은 하고 싶지 않다.” 이 세대의 냉정한 인식이 산업의 현실을 드러낸다. MZ세대의 눈에 ‘관광업’은 낡았다WTTC 보고서는 관광산업의 최대 위기를 ‘인력 유입 부족’으로 지목했다. MZ세대는 단순한 직장 안정성보다 성장 가능성과 일의 의미를 더 중시한다. 하지만 관광업은 여전히 낮은 임금, 불규칙한 근무, 느린 승진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현장 중심의 노동 환경은 유연근무와 리모트워크를 중시하는 세대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인천 강화군 교동면에 위치한 ‘화개정원’이 가을의 정취 속에서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 형형색색의 꽃과 나무가 어우러진 정원 입구에는 ‘화개정원’이라는 이름이 새겨진 감각적인 간판이 자리하고, 그 주변을 둘러싼 돌담과 식물들이 정원의 품격을 더한다. 간판에는 녹색과 흰색의 잎 모양 로고와 나무 문양이 담겨 있어, 자연과 생태를 상징하는 정원의 철학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곳은 단순한 정원을 넘어 지역의 이야기와 문화가 스며든 공간으로,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2025 강화 화개정원 축제’가 열려 더욱 활기를 띨 예정이다. 축제 기간 동안에는 박혜경, 양지은 등 인기 가수들의 공연과 시민노래방, 반려 화분 만들기, 종이꽃꽂이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돼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 지역 주민들이 직접 준비한 농·특산물 플리마켓도 열려 풍성한 먹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한다. 정원에서 조금 떨어진 언덕 위에는 미래적인 디자인의 전망 구조물이 눈길을 끈다. 원형의 관람 데크와 기울어진 지지대, 중앙 마스트로 구성된 이 구조물은 강화도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관광객에게 색다른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맑은 하늘 아래 펼쳐진 이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남미 대륙의 관문인 아르헨티나는 유럽의 향취와 남미 특유의 활력이 공존하는 나라다.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는 고전적인 건축미와 예술, 탱고로 상징되며, 최근에는 ‘남미에서 가장 저렴한 한 달 살기 도시’로 주목받고 있다. 고물가와 경제 불안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에게는 환율 덕분에 놀라운 체류 효율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Numbeo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생활비는 서울 대비 약 60% 수준이다. 특히 음식과 교통비는 절반 이하로, 중급 식당에서의 한 끼가 8달러 안팎이다. 현지 통화인 페소 가치가 약세를 이어가면서, 외국 통화(달러·유로)를 보유한 여행자나 원격 근무자에게는 체감 물가가 더욱 낮게 느껴진다. 장기 체류자 사이에서는 ‘남미의 가성비 수도’라는 별칭도 붙었다. 도시의 분위기는 유럽에 가깝다. 19세기 이민자들이 세운 건축물들이 곳곳에 남아 있어, 산책만으로도 클래식한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레콜레타(Recoleta) 지역은 고급 아파트와 예술적인 카페가 즐비하고, 팔레르모(Palermo)는 젊은 디지털 노마드들이 몰려드는 트렌디한 동네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숙소는 에어비앤비나 중장기 렌털 형태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강화군은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교동면 화개정원에서 ‘2025 강화 화개정원 축제’를 개최한다. 이번 축제는 화개정원과 교동도의 자연과 문화 자원을 활용해 무대 공연, 체험 프로그램, 소규모 버스킹, 농·특산물 플리마켓 등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되며,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축제 첫날인 25일에는 박혜경, 고영태, 이젤, 성리 등이 개막 축하공연을 펼치며, 26일에는 엔분의일, 서기, 이도진, 양지은이 무대에 올라 가을 분위기를 더할 예정이다. 행사장에서는 시민 참여형 ‘시민노래방’과 지역 예술인 공연이 마련돼 누구나 무대의 주인공이 될 수 있으며, 반려 화분 만들기, 원고지 키링 만들기, 전통 3종 경기, 종이꽃꽂이, 드림캐쳐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된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직접 준비한 농·특산물 플리마켓이 열려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한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홍콩관광청은 오는 30일 서울 몬드리안 이태원에서 열리는 ‘지큐 스피릿(GQ SPIRITS)’ 행사에 세계적인 홍콩 바 ‘코아(COA)’를 초청해 홍콩의 바 문화를 선보인다.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지큐 코리아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Drink, Love & Free’를 콘셉트로, 세계 각국의 바와 브랜드가 시그니처 칵테일과 주류 문화를 소개하는 자리다. 행사에는 2021년부터 3년 연속 ‘아시아 50 베스트 바’ 1위에 오른 코아가 참여하며, 공동 창립자 제이 칸(Jay Khan)이 내한해 시그니처 칵테일과 바텐딩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홍콩관광청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서울 주요 바 4곳에서 홍콩을 주제로 한 시그니처 칵테일을 제공하는 ‘홍콩 칵테일 프로모션’을 11월 중순까지 진행한다. 참여 바는 바 노츠, 파인앤코, 앨리스 청담, 바 키안으로, 홍콩의 거리, 음식, 영화 등에서 영감을 받은 칵테일을 선보인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인천관광공사는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동인천역 북광장에서 ‘2025 동인천 낭만축제’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축제에서는 송현시장·중앙시장·배다리공예상가 상인들이 참여하는 ‘낭만 2일장’, 지역 예술인과 청소년 공연이 이어지는 ‘낭만버스킹’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18일에는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노래·악기 경연대회와 원미연·금산·심신·천록담이 출연하는 개막 ‘낭만콘서트’가 열리고, 19일에는 ‘우리동네 운동회&퀴즈쇼’, 추억의 영화를 상영하는 ‘낭만시네마’, 써니·김세환·윤형주가 출연하는 포크콘서트가 이어진다. 행사장과 인근 시장에서 구매한 영수증으로 만족도 조사에 참여한 시민에게는 기념품이 제공되며, 인천관광공사는 이번 축제가 지역 상권 활성화와 시민 화합의 장이 되길 기대하고 있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멕시코는 흔히 여행지로만 떠올리기 쉽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디지털 노마드와 장기 체류자들에게 ‘살기 좋은 나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2025년 기준 국제 비교 사이트 Numbeo에 따르면 멕시코의 평균 생활비는 서울의 약 45~55% 수준이며, 안전 지수도 주요 남미 국가 중 중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저렴한 물가, 풍부한 문화 자산, 따뜻한 기후가 균형을 이루며 ‘한 달 살기’ 목적지로서의 인기를 끌고 있다. 수도 멕시코시티는 국가의 정치·경제·문화 중심지로, 다양한 체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최근 몇 년간 외국인 원격근무자들이 몰리면서 콜로니아 로마(Roma)와 콘데사(Condesa) 같은 지역은 젊은 창작자와 디지털 워커의 거점으로 변모했다. 월세를 포함한 1인 체류 비용은 약 900~1,200달러 수준으로, 라틴아메리카 주요 수도 중 중간 정도의 수준이다. 도시의 와이파이 품질은 안정적이며, 스타트업 허브로 지정된 지역에는 코워킹 스페이스와 영어 기반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과달라하라는 멕시코 제2의 도시이자 서부 문화의 중심이다. 멕시코 전통 음악 ‘마리아치’와 테킬라의 본고장으로 알려진 이곳은, 대도시의 편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김포시는 오는 18일 한강중앙공원과 라베니체 일원에서 ‘2025 김포 라베니체 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는 라베니체 수변도시를 배경으로 수상버스킹과 불꽃쇼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행사로, 오후 1시부터 8시 50분까지 진행된다. 개막식은 오후 6시에 열리며, 해병대 2사단 군악대의 식전공연과 함께 다이아, 노라조, 윤하 등 대중가수들이 수상무대에서 공연을 펼친다. 공연 종료 후에는 15분간 불꽃쇼가 진행된다. 축제 기간 동안 라베니체 거리에는 파라솔과 노천카페가 조성되며, 상권 연계 할인행사와 경품 이벤트, 판매 부스도 운영된다. 문보트를 활용한 수상버스킹과 어린이 대상 마술·서커스 공연, 공공정책 홍보·체험 부스도 마련된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인천 미추홀구는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간 수봉공원 인공폭포 일대에서 ‘제5회 수봉산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수봉산의 아름다운 가을 풍경을 배경으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주민이 함께 즐기고 참여할 수 있도록 무대공연, 체험프로그램, 거리공연, 푸드트럭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꾸며진다. 축제 첫날인 18일 오후 3시부터는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자개 무드등 만들기, 자석 캔버스 그림 그리기, 탈곡 체험, 페이스페인팅 등 다양한 체험활동이 마련된다. 이어 인천문화재단 요기조기 음악회, 펜타포트 슈퍼루키팀의 공연, 미추홀구 여성합창단 무대가 이어지며 분위기를 돋운다. 저녁에는 가수 백지영과 육중완 밴드 등 인기 아티스트들이 무대에 올라 축제의 열기를 더한다. 둘째 날에는 미추홀구민 가요제가 열리고, 장민호와 경서 등이 축하공연을 펼쳐 가을밤을 화려하게 장식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푸드트럭과 거리공연이 곳곳에서 진행돼 방문객들은 오감을 통해 축제를 만끽할 수 있다. 구는 이번 축제가 자연과 문화, 먹거리와 볼거리가 어우러진 주민 참여형 축제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