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말레이시아 대표 저비용항공사 에어아시아가 2025년 2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항공업계의 회복 흐름을 이끌고 있다. 에어아시아의 모회사인 캐피털 A는 2분기 당기순이익이 8억8,400만 링깃(약 2,90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5억5,200만 링깃 손실에서 대폭 개선된 수치로, 국제 유가 하락과 아세안 통화 강세에 따른 외환 이익, 그룹 차원의 비용 최적화 전략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매출은 45억 링깃(약 1조4,791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9억3,100만 링깃(약 3,064억 원*으로 32%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을 입증했다. 특히 항공편 증편에도 불구하고 평균 탑승률 82%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한 점이 눈에 띈다. 이는 팬데믹 이후 회복세를 보이는 동남아 항공 시장에서 에어아시아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에어아시아는 하반기에도 노선 확대와 디지털 플랫폼 강화 전략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에어아시아의 실적 개선은 저비용항공사(LCC) 전반의 회복 가능성을 시사하는 긍정적 신호”라고 분석했다.
(인천=뉴스트래블) 박성은 기자 =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얼굴인식 출국 서비스인 ‘스마트패스’를 인천공항 제1·2여객터미널 전체 탑승구로 확대 적용해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스마트패스는 여권과 탑승권 없이 얼굴인식만으로 출국장과 탑승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서비스로, 지난 2023년 7월 국내 공항 최초로 도입됐다. 기존에는 출국장에서만 이용 가능했으나, 시범 운영을 거쳐 이날부터 총 158개 탑승구에 단말기 설치를 완료하고 전면 확대 운영에 들어갔다. 현재 스마트패스 탑승구 이용이 가능한 항공사는 대한항공, 에어프레미아 등 11개 항공사로, 항공사별 인증 절차를 거쳐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사는 향후 협의를 통해 이용 가능 항공사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스마트패스 이용을 위해서는 전용 모바일 앱(ICN SMARTPASS) 또는 연계된 금융 앱(KB국민, 토스, 신한, 우리, 하나)을 통해 얼굴정보와 여권 진위 여부를 등록해야 한다. 등록 후에는 스마트패스 전용 출국장 및 탑승구 레인을 통해 빠르고 편리한 출국이 가능하다. 특히 제1여객터미널 2번 출국장과 제2여객터미널 2번 C/D 출국장은 스마트패스 전용으로 운영 중이다.
(서울=뉴스트래블) 박주성 기자 = 이스타항공이 오는 9월 19일부터 인천-옌타이 노선에 신규 취항한다. 해당 노선은 주 7회, 매일 운항한다. 운항 스케줄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오전 7시 출발해 옌타이 펑라이국제공항에 현지 시각 7시 30분 도착, 귀국편은 현지에서 오전 8시 30분 출발해 인천공항에 오전 11시께 도착한다. 옌타이는 중국 산둥반도 북부의 대표적 해안 도시로, 한국과 중국 주요 기업의 산업단지가 조성된 경제 요충지다. 인천에서 90분 이내로 접근성이 뛰어나며 봉래각 등 역사적 명소와 자연 경관, 골프장 등 관광 인프라도 풍부하다. 이스타항공은 이번 신규 취항을 기념해 중국 노선 특가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편도 총액 최저가는 옌타이 5만5600원, 상하이 6만9400원, 정저우 7만4400원이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대한항공은 1971년 첫 피랍 사고 이후 최근까지 크고 작은 항공사고를 겪어왔다. 국제적 사건부터 이·착륙 사고까지 다양한 사고 유형이 포함된다. 1971년 1월 23일, 대한항공 F-27 여객기는 강원 고성 상공에서 피랍된 뒤 비상착륙에 성공했으나 2명이 사망하고 26명이 부상했다. 이어 1976년 B707기가 이란 테헤란 공항 이륙 후 산악에 추락해 5명이 숨졌다. 1978년에는 소련 무르만스크 근해에서 B707기가 항로를 이탈, 피격돼 2명이 사망했다. 1980년대 들어서는 활주로와 착륙 사고가 잇따랐다. 1980년 김포공항 착륙 중 B747 여객기 뒷바퀴가 파손되며 동체가 활주, 16명이 사망했다. 1981년 필리핀 마닐라 공항 이륙 중 B747가 철책과 충돌해 24명이 부상했다. 그러나 가장 큰 비극은 1983년 9월 1일 발생했다. 소련 캄차카 근해에서 B747 여객기가 전투기에 의해 피격되며 탑승자 269명이 사망했다. 1987년 11월 29일에는 미얀마 안다만 해상에서 북한 공작원에 의한 공중 폭파로 B707 여객기 탑승자 115명이 목숨을 잃었다. 1989년에는 C10기가 리비아 트리폴리 공항 착륙 중 지상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서울관광재단은 다음달 18일부터 서울의 새로운 수상 교통수단, 한강버스의 정식 운항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마곡에서 잠실까지 한강 물길을 따라 서울의 동서 지역을 연결하는 한강버스는 출퇴근용 대중교통은 물론, 레저와 관광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주목된다. 한강버스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프랑스 파리의 센 강처럼 서울에서도 물 위에서 도시를 경험할 수 있는 수상 교통수단이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마곡, 망원, 압구정, 잠실 등 주요 거점과 버스 노선을 연계했으며, 선착장 건물 내 프랜차이즈 카페와 편의점, 치킨점 등이 입점해 탑승객 편의성을 높였다. 총 12척의 선박(하이브리드 8척, 전기 추진 4척)이 투입되며, 편도 요금은 일반 3000원, 청소년 1800원, 어린이 1100원이다. 교통카드 환승할인과 월 5000원으로 무제한 이용 가능한 기후동행카드도 제공된다. 좌석 199석 규모의 선박 내부에는 편안한 의자와 접이식 테이블, 넓은 창문, 휠체어 전용 공간과 화장실, 선내 카페테리아가 마련돼 탑승객의 편의와 안전을 동시에 확보했다. ◇ 레포츠와 한강버스 여의도의 러너 스테이션과 연계하면 한강버스를 활용한 레포츠도 가능
(말레이시아=뉴스트래블) 김남기 기자 = 말레이시아와 중국 장시성이 하늘길로 연결됐다. 저비용 항공사 장시 항공(Jiangxi Air)이 지난 25일 중국 난창에서 쿠알라룸푸르로 향하는 첫 국제선(RY6607편)을 취항하며 역사적인 순간을 맞았다. 이번 노선은 난창과 쿠알라룸푸르를 잇는 최초의 직항편이자 장시 항공의 첫 국제 정기 노선이다. 보잉 737-800 항공기를 투입해 주 2회 운항하며 관광·비즈니스 수요를 겨냥한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열린 취항식에는 말레이시아 관광부, 교통부, 관광청, 말레이시아 공항공사, 장시 항공 관계자 등이 참석해 양국 교류 확대 의지를 강조했다. 티옹 킹 싱 말레이시아 관광예술문화부 장관은 “새로운 노선은 양국 관광 협력의 성장세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더 많은 중국인 관광객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 말레이시아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217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6% 증가했다. 이번 신규 노선은 장시성 지역 관광객 유치에 탄력을 줄 전망이다. 말레이시아 관광청은 이번 개설을 계기로 2026년 ‘말레이시아 방문의 해(Visit Malaysia 2026)’를 앞두고 국제 관광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한다
(세종=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국내 항공안전 통계가 지난 22년간의 흐름을 집계한 결과, 항공사고 건수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지만 특정 연도에 피해가 집중되는 양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종과실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고, 일반적으로 사고 위험이 높은 이착륙 단계보다 순항 중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한 점이 특징이다. 국토교통부 집계(2002~2024)에 따르면 국내 항공사고는 총 94건, 인명피해는 252명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는 조종과실이 47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조사중 21건, 정비불량 및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비행단계별로는 순항 중 사고가 46건으로, 이착륙보다 높은 비중을 보였다. 특히 2024년 국내 사고는 3건으로 10년 전(2014년)과 건수는 같았지만, 인명피해는 5명에서 179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단일 대형 사고의 충격이 전체 수치를 좌우한 결과로 해석된다. 전세계적으로는 2024년 한 해 동안 사고가 148건, 사망자는 388명에 달했다. 특히 8월에만 18건이 발생해, 여름 성수기 운항 밀집과 기상 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 통계는 "조종과실 비중이 높은 만큼 조종사 피로도 관리와 절차 준수, 훈련 강화
(세종=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항공사마다 무료 위탁수하물 허용량과 초과 수하물 요금 규정이 달라 소비자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교통연구원이 21일 발간한 항공소비자리포트에 따르면, 국적 항공사의 경우 국제선은 일반석 기준 1인당 23kg 1개, 국내선은 15~20kg까지 무료로 허용하는 경우가 많다 . 반면 외항사는 항공사와 노선에 따라 허용량이 크게 다르다. 일부 대형 외항사는 일반석에서 23kg 2개까지 허용하기도 하지만,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무료 위탁수하물을 전혀 제공하지 않는 사례도 있어 탑승 전 확인이 필수다 . 초과 수하물 요금 또한 천차만별이다. 국적 항공사는 국내선의 경우 1kg당 2,000원 내외, 국제선은 구간별로 정액 요금을 부과한다. 외항사는 무게·개수·구간에 따라 과금 방식이 다양해, 짐이 많을 경우 예기치 못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 예약 전 반드시 수하물 규정을 확인하고, 필요 시 온라인 사전 결제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