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올해 상반기 우리 국민은 지난해 보다 많이 해외를 나갔으며, 외국인 또한 많이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6월 방한객수가 전년 동기(1,417,274명) 대비 14.2% 증가한 1,619,220명을 기록했다. 전달(5월)에 비해 10,167명 감소했다. 중국인들이 지난달 한국을 가장 많이 방문(47.7만명)을 했으며, 이어 일본(28.7만 명), 미국(16.6만), 대만(16.5만 명), 홍콩(5.6만 명) 순이다. 미국, 대만, 홍콩 시장은 2019년 동월대비 각각 157.7%, 139.2%, 90.9% 회복했고, 중국과 일본시장은 2019년 동월 대비 각각 100.4%, 101.7% 수준을 기록했다. 1~6월 방한객은 883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하고, 2019년 동기간 대비 104.6% 회복했다. 시장별로는 중국(253만명), 일본(162만명), 대만(86만명), 미국(73만명), 필리핀(31만명) 순이다. 반면, 6월 우리 국민 해외관광객은 2,226,396명으로 전년 동월(2,219,151명) 대비 0.3% 증가했다. 이는 2019년 동월 대비 89.2% 수준이
(강원=뉴스트래블) 손현미 기자 = 인센티브여행의 규모와 사업체 현황 파악을 위한 ‘인센티브여행 현황조사’가 통계청 국가승인통계 심의를 지난 22일 통과했다. 인센티브여행은 조직원들의 성과보상 및 동기부여를 목적으로 외국에서 국내로 오는(Inbound) 외국인 10명 이상 참가하며 1박 이상 체류하는 포상 관광이다. 인센티브여행은 관광, 기업회의, 교육 등이 결합한 복합적인 형태의 여행으로일반 관광에 비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더 크다. ‘2023 MICE 산업통계 ’에 따르면, 약 78만 명의 인센티브여행객이 한국을 방문했으며, 1인당 지출액은 일반 외래관광객 대비 약 1.49배(2,80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009년부터 인센티브여행을 포함한 MICE 산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유치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MICE 산업통계’를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조사는 국가 승인통계가 아닌 미승인 통계로 분류돼 활용과 대외공개에 제한이 있었다. 이번 ‘인센티브여행 현황조사’는 지난 2024년 9월, 승인을 받은 ‘국제회의 현황조사’에 이어 공사가 생산하는 두 번째 MICE 분야 국가승인통계다. 이를 통해 MICE 4개 분야 중 3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싱가포르가 세계에서 여권 파워가 가장 센 국가로 선정됐다. 헨리 여권 지수(Henley Passport Index)에 따르면, 싱가포르 여권 소지자는 전 세계 227개 국가 중 193개국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 헨리 여권 지수는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IATA)가 제공하는 독점 Timatic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권 소지자가 사전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목적지 수를 기준으로 전 세계 여권 순위를 매긴다. 한국과 일본은 각각 190개국에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어 싱가포르에 이어 공동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유럽연합(EU) 회원국 중 7개국(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스페인)이 각각 189개 국가에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어 공동 3위를 차지했다. 또 다른 7개 회원국(오스트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웨덴)은 188개 국가에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어 공동 4위를 차지했다. 그리스, 스위스, 뉴질랜드는 공동 5위다. 글로벌 이동성 지수의 하위권에선 아프가니스탄이 여전히 최하위에 머물렀다. 아프
(인천=뉴스트래블) 차우선 기자 = 최근 발표된 ‘2024년 국민여행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국내여행 수요는 감소했지만, 인천은 주요 관광 지표 전반에서 상승세를 기록했다. 인천은 여행횟수, 여행일수, 여행지출액 등 모든 항목에서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여행지출액은 12.59% 급증해 양적·질적 성장을 동시에 이뤄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6월 말 발표한 ‘2024년 국민여행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전체의 국내여행 횟수는 2억 9182만 회로 전년 대비 1.74% 감소했고, 여행일수는 4억 4850만 일로 3.63% 줄었다. 여행 지출액도 36조 8000억 원으로 2.69% 하락하며 전반적인 위축세를 보였다. 반면, 인천은 여행횟수 1138만 회로 전년대비(1,132만 회) 0.53% 증가했고, 여행일수는 1514만 일로 전년대비(1437만 일) 5.36% 늘어났다. 또한 여행지출액은 9480억 원으로 전년대비(8,420억원) 12.59%나 급증하면서 인천이 경기 침체 속에서도 관광 활성화를 견인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특히, 인천은 숙박여행 지표의 상승폭이 두드러진다. 인천의 숙박여행 횟수는 286만 회로
(서울=뉴스트래블) 손현미 기자 = 우리 국민은 지난 1분기 해외는 어디를 많이 갔을까. 문화체육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2025 국민여행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 국민이 제일 많이 간 곳은 일본(45.6%)이었다. 다음은 베트남(19.9%), 태국(5.5%), 중국(5.0%), 필리핀(4.9%)과 홍콩(4.9%), 대만(4.2%), 미국(1.7%), 몽골(1.0%)과 라오스(1.0%) 순이었다. 또한 여행지를 선택할 때 여행지의 지명도(54.7%)를 가장 많이 고려했고, 볼거리 제공(44%), 여행할 수 있는 시간(32.8%), 저렴한 여행경비(28.4%), 여행 동반자 유형(27.6%) 등이 방문지 선택의 기준이 됐다. 지난 1분기 여행 평균 동반자 수는 3.8명 이었으며, 현지에서는 주로 '전세/관광버스(54.6%), 지하철(21.3%), 택시(20.3%), 고속/시외/시내버스(13.2%), 차량대여/렌트(5.3%) 등을 이용해 이동했다. 그리고 여행지에서는 자연 및 풍경을 감상(80.6%)하거나, 음식관광(76.8%), 휴식/휴양(62.5%), 역사 유적지 방문(38.2%), 쇼핑(37.1%)을 하면서 보냈으며, 숙박시설은 주로 호텔(88.3%)을
(서울=뉴스트래블) 손현미 기자 = 우리 국민은 지난 1분기 여행을 얼마나 했을까. 문화체육부가 지난 6월 발표한 '2025 국민여행조사' 1분기 결과를 보면, 만 15세 이상의 국민 중 40.5%가 관광여행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동기(43.3%) 대비 2.8%p 감소한 수치며, 1분기 중에서는 2월(41.7%)에 관광여행을 가장 많이 했다. 관광여행 횟수는 58,287천회로 지난해 1분기(61,869천회) 대비 5.8% 감소했으며, 관광여행 일수 역시 92,655천일로 '24년 1분기(95,178천일) 대비 2.7% 감소했다. 관광여행 지출액은 8,028십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7,973십억원) 대비 0.7% 증가했다. 반면, 1회 평균 관광여행 일수는 1.60일로 지난해 1분기(1.54일) 대비 3.9% 증가했고, 1회 평균 지출액 역시 139천원으로 '24년 1분기(130천원) 대비 6.9% 증가했다. 관광여행 패턴이 경험이나 횟수는 줄었지만, 1회 여행 시 기간과 비용은 오히려 늘었다. 한편, 우리 국민의 4.8%가 지난 1분기 해외여행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동기(4.6%) 대비 0.2% 증가했다. 2023년 1분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2025년 5월 외국인 입국자와 내국인 출국자가 전년 동월 대비 늘었다. 30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은 162만9387명으로 전년 동월(141만8463명) 대비 14.9% 증가한 반면, 외국에 나간 우리 국민은 239만1130명으로 전년 동월(226만8310명) 대비 5.4% 증가했다. 5월에 가장 많은 방한객을 기록한 시장은 중국(48.4만 명)이며, 이어 일본(29.2만 명), 대만(15.0만 명), 미국(13.2만 명), 필리핀(6.1만 명) 순이다. 대만, 미국, 필리핀 시장은 2019년 동월대비 각각 47.6%, 38.1%, 19.8% 증가했으며, 중국과 일본시장은 '19년 동월대비 각각 96.8%, 101.9% 수준으로 회복했다. 지역별로는 아중동 시장이 코로나 이전인 ’19년 동월대비 113.9%, 구미주 시장은 127.8% 회복했다. 1~5월 방한객은 721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하고, 2019년 동기간 대비 103.5% 회복했다. 시장별로는 중국(205만명), 일본(133만명), 대만(70만명), 미국(56만명), 필리핀(26만명) 순이다. 5월 내국인은 239만11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서울이 국제회의 개최 아시아 1위·세계 3위를 달성해 글로벌 마이스 도시로 떠올랐다. 30일 세계 도시들의 국제회의 개최현황을 평가하는 국제협회연합 발표에 따르면, 서울이 지난해 총 180건의 국제회의를 개최해 아시아 1위, 세계 3위를 달성했다. 이번 결과는 국제협회연합이 전 세계 1034개 도시에서 개최한 국제회의 8859건 중 도시별 개최 건수를 종합한 것으로 서울은 전년도(’23년) 아시아 2위, 세계 4위에 대비해 각 한 단계씩 상승했다. 주요 도시별 순위와 개최 건수는 △1위 벨기에 브뤼셀(338건) △2위 오스트리아 빈(239건) △3위 대한민국 서울(180건) △4위 스페인 바르셀로나(159건) △5위 일본 도쿄(148건) 순이다. 길기연 서울관광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UIA 국제회의 개최순위 아시아 1위 달성은 국제 마이스 도시 서울의 경쟁력이 세계무대에서 객관적 수치로 증명된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서울과 제주가 아시아 내 '마이크로 트래블(Micro-travel)' 인기 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 마이크로 트래블은 바쁜 일상 속 최소한의 일정과 예산으로 색다른 경험과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 트렌드다. 아고다가 올 1월부터 5월까지의 이용자 숙박 예약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과 제주가 아시아 최고의 '1박 여행지' 상위 10개 도시 중 각각 2위와 6위에 올랐다. 1위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가 차지했으며, 대한민국 서울, 대만 타이베이, 필리핀 마닐라, 태국 파타야, 대한민국 제주, 일본 나고야, 대만 가오슝, 말레이시아 페낭, 인도네시아 수라바야가 뒤를 이었다. 서울, 제주 외 속초, 여수, 전주가 차례로 인기 1박 여행지로 꼽혔다. 이 도시들은 뛰어난 접근성, 지역 특산물, 아름다운 자연과 풍부한 문화 콘텐츠 등으로 여행객들의 관심이 높다. 특히 여수와 전주는 지난 5월 '여수 거북선축제'와 '전주국제영화제' 개최로 방문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뉴스트래블) 변준성 기자 = 제주도 내 외국인전용 카지노가 코로나19 이후 여행 패턴 변화에 힘입어 20~30대 중심의 새로운 관광 수요를 창출하며 지역 관광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내 외국인전용 카지노 8곳의 2025년 5월 기준 누적 입장객 수가 약 31만 명으로 전년 동기(‘24년 5월 기준 누적 24만 7천 명) 대비 25.5%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2023년 5월 기준 누적 입장객 10만 7천 명과 비교하면 약 189.7%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 회복세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는 과거 단체관광 중심에서 개별관광으로 여행 형태가 변화하면서 젊은 층의 제주 방문이 크게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카지노 이용객은 입장객 주요 연령층이 기존 40대 이상에서 20~30대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카지노 입장객의 주요 연령층은 40대 이상이 61.2%(‘23.5월 누계)를 차지했으나 2024년도 52.7%, 2025년도는 49.5%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2025년 5월 기준 20~30대의 입장객 비율이 50.5%로 과반을 차지하며, 연말까지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