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뉴욕 관광청이 다국어 AI 여행 도우미 ‘리비(Libby)’를 공개했다. 자유의 여신상에서 이름을 딴 리비는 60개 언어로 관광 정보를 제공하며, 한국어를 포함해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 리비는 맛집 추천, 명소 안내, 공연 정보 등 다양한 질문에 실시간으로 응답하며, 개인 취향과 여행 형태에 맞춘 맞춤형 일정도 제안한다. 앱 설치나 회원가입 없이 뉴욕 관광청 홈페이지와 왓츠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관광청은 리비가 언어 장벽을 허물고 여행 경험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혁신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외래관광객조사 2분기 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4~6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458만6천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분기(397만5천 명)보다 15% 증가한 수치다 . 국가별로는 중국(135만4천 명)과 일본(83만 명)이 여전히 최다 입국국으로 꼽혔으며, 대만(46만6천 명), 미국(42만4천 명), 홍콩(17만2천 명)이 뒤를 이었다. 특히 대만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 미국은 15% 증가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동남아 주요국에서는 싱가포르(11만3천 명)와 필리핀(7만2천 명)이 각각 34%, 4% 늘어났으며, 러시아(11만2천 명)와 중동(5만4천 명)도 각각 12%, 15% 증가해 회복세를 보였다. 반면 베트남(8만2천 명)과 말레이시아(12만 명)는 소폭 감소했다. 한편, 영국(7만7천 명), 독일(5만2천 명), 프랑스(4만9천 명) 등 유럽 주요국에서도 입국객 증가세가 확인되며, 전통적 아시아권 중심 구조가 점차 다변화되는 모습이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모두투어는 중국 장가계 인근 신규 관광지 ‘모암하(茅岩河)’ 상품 개발을 위해 모암하 여유개발주식유한공사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 8월 31일 열린 협약식에서 양사는 여행 상품 개발, 디지털 마케팅, 관광 교류 확대에 협력하기로 했다. 모암하는 장가계 시내에서 차량으로 약 1시간 거리에 있는 협곡 관광지로, 기암절벽과 폭포, 원시림이 어우러진 자연경관을 갖춰 ‘후난의 그랜드캐니언’으로 불린다. 유람선과 래프팅 체험도 가능해 장가계와 연계한 관광 코스로 주목받고 있다. 모두투어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자연·체험·문화를 결합한 차별화된 중국 신상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서울관광재단은 오는 10일까지 서울 북촌 ‘코너 갤러리’에서 서울 공식 기념품 브랜드 ‘서울굿즈’ 단독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서울, 작품이 되다(My Art Pieces, Seoul)’를 주제로 기획됐다. 아티스트 강준영, 그라플렉스, 김지희와 협업한 아트콜라보 굿즈를 비롯해 티셔츠, 에코백, 텀블러, 스카프, 문진 등 30여 종의 제품을 선보인다. 베스트셀러 ‘풍경마그넷 7종’과 해시계·측우기 모티프의 인센스·디퓨저로 구성된 시그니처 라인 신상품 ‘서울방향’도 전시·판매된다. 이번 팝업은 세계적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 2025’와 연계해 운영된다. 북촌 야간 문화예술 축제 ‘삼청나잇’ 인근에서 열려 내외국인 방문객들에게 서울의 문화적 가치와 예술성을 함께 알린다. 현장에는 서울관광 명예홍보대사인 케이팝 아티스트 제니의 포스터로 꾸며진 포토존이 마련된다. 방문객이 사진을 찍어 SNS에 공유하면 ‘케이팝 데몬 헌터스’ 전통 매듭끈을 증정하며, 구매 고객에게는 최대 6만 원 상당의 랜덤 기프트를 선착순 1000명에게 제공한다. 말했다.
(강원=뉴스트래블) 손현미 기자 = 한국관광공사는 일본 라인망가와 협업해 한국 인기 웹툰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관광 홍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공사는 ‘좀비딸’, ‘킬러 배드로’, ‘시한부인 줄 알았어요’, ‘못 잡아먹어서 안달’ 등 웹툰 속 주인공들이 순천만 국가정원, 설악산 주전골, 경주 동궁과 월지, 전주 한옥마을 등 국내 주요 관광지를 여행하는 모습을 일러스트로 제작했다. 이번 배경지는 지난 3월 일본 한국여행 전문가들이 선정한 ‘한국 절경 30선’에 포함된 12곳이다. 제작된 일러스트는 9월부터 10월 말까지 한국관광 통합플랫폼 ‘비짓코리아(VISITKOREA)’에서 공개된다. 오프라인 전시는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내 하이커스테이션과 일본 후쿠오카 코리아플라자 등 한·일 주요 관광 거점에서 10월 한 달간 진행되며, 현장 방문객에게는 한정판 굿즈가 증정된다. 또 9월 27~28일 열리는 ‘한일축제한마당 2025 in 도쿄’와 ‘투어리즘 엑스포 재팬 2025’ 한국관에서도 전시될 예정이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모두투어가 9월부터 12월까지 일본 지역별 단풍 절정 시기에 맞춘 맞춤형 여행 상품을 선보이는 ‘일본 가을 단풍’ 기획전을 출시했다. 이번 기획전은 일본의 대표 단풍 명소인 오사카, 도쿄, 규슈, 삿포로 등을 중심으로 ▲모두시그니처 ▲ONLY우리만 ▲NEW트렌드 ▲지방 출발(청주·대구·부산·제주) 상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성돼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혔다. 대표 상품인 ‘오사카/교토 3일’은 교토 청수사와 오사카성의 단풍 절경을 감상하며, 오사카·교토·고베·나라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한 일정으로 구성됐다. 숙박은 시내 중심의 메리어트 계열 호텔에서 제공된다. 온천과 단풍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스기노이 온천] 후쿠오카 3일’ 상품은 후쿠오카 시내 호텔과 스기노이 온천 호텔을 결합해 유후인 긴린코 호수, 벳푸 등 단풍 명소를 포함한 힐링 여행을 제공한다. 신상품 ‘[모두시그니처] 최고의 단풍, 알펜루트 4일’은 구로베댐, 무로도, 다이칸보 등 알펜루트 주요 명소를 다양한 교통수단으로 횡단하며, 나고야·후쿠이·가미코치까지 아우르는 일정으로 구성됐다. 일본 미식 특전으로 야키니쿠, 스키야키, 샤브샤브, 노미호다이 등이 포함된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하나투어가 태국 치앙마이 재방문 고객을 겨냥해 인근 소도시 ‘치앙다오’를 연계한 여행 상품을 자사 최초로 선보였다. 동시에 인도네시아의 이색 관광지 ‘마나도’를 신규 목적지로 발굴하며 고객 경험 확장에 나섰다. ‘별의 도시’로 불리는 치앙다오는 치앙마이에서 차량으로 약 1시간 거리에 위치한 자연친화적 여행지로, 밤하늘의 별빛과 고요한 분위기로 주목받고 있다. 하나투어는 2024년 자체 고객만족도조사(HCSI)에서 치앙마이가 근거리 비행 구간(4~8시간) 중 만족도 최상위를 기록한 점에 착안해 이번 상품을 기획했다. 대표 상품인 ‘[2030전용] 치앙마이/치앙다오 5일 #불멍별멍’은 2030세대 전용으로, 참가자들은 캠프파이어와 별빛 감상, 나이트 바자·재즈바 탐방, 타이 전통 마사지 등 다양한 현지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또 다른 상품인 ‘치앙마이/치앙다오 5일 #매캄퐁’은 울창한 숲의 도시 ‘매캄퐁’을 포함해 MZ세대 인기 명소인 매캄퐁 빌리지와 폭포 등을 둘러보며 자연 속 힐링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하나투어는 인도네시아 마나도를 신규 목적지로 선정하고 ‘마나도 직항 5일 #부나켄호핑투어’ 상품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은
(강원= 뉴스트래블) 손현미 기자 = 한국관광공사는 1일부터 5일까지 장애청소년 가정, 다문화 가정 등 관광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가족동행, 청소년 꿈여행’ 참가자 50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여행 기회가 적은 청소년들에게 가족과 함께하는 여행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과 추억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9월 16일부터 30일까지 전국 7개 지역에서 당일 일정으로 운영된다. 주요 여행 코스는 △춘천 진로 탐색 여행 △파주 DMZ 교육여행 △울산 해양탐구여행 △안동 인문학여행 △구미 힐링 자연여행 △창원 해양체험여행 △전주 역사여행 등으로,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다양한 테마로 구성됐다. 청소년 꿈여행은 무료로 운영되며, 신청은 ‘열린관광 모두의 여행’ 누리집(visitkorea)을 통해 가능하다. 신청 대상은 장애청소년 또는 청소년(9~24세)을 포함한 다자녀, 다문화, 조손, 한부모 가정 등이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아고다가 아시아 내 ‘몰케이션(Mall-cation)’ 여행지를 추천했다. 몰케이션은 쇼핑과 관광, 엔터테인먼트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여행 형태로, 아고다는 각국의 랜드마크급 쇼핑몰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여행 경험을 제안하고 있다. 추천 여행지 중 중국 상하이는 대한민국 여행객들의 검색량이 전년 대비 242% 증가하며 대표적인 몰케이션 여행지로 떠올랐다. 상하이 최대 쇼핑몰인 ‘글로벌 하버(Global Harbor)’는 테마별 상점과 부티크 매장, VR 테마파크, 극장 등을 갖춘 복합 문화 공간으로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는 올해 대한민국 여행객 검색량이 28% 늘었다. ‘IOI 시티몰(IOI City Mall)’은 실내에서도 여행지 특유의 열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녹지와 수경 시설을 배치했으며, 아이스링크, 실내 어드벤처 파크, 영화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춰 실내 여행지로 최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태국 방콕의 ‘아이콘시암(ICONSIAM)’은 단순 쇼핑몰을 넘어 종합 관광지로 꼽힌다. 차오프라야 강변에 위치한 이곳에서는 글로벌 명품 브랜드와 고급 레스토랑뿐만 아니라, 태국 전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2025년 7월 한국을 찾은 외래 관광객은 173만 3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1% 증가하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의 119.7% 수준을 넘어섰다. 가장 많은 관광객은 중국(60만 2천 명)으로 전년 대비 31.2% 늘었고, 일본(30만 명), 대만(20만 명), 미국(13만 명), 홍콩(6만 4천 명)이 뒤를 이었다. 특히 대만·미국·홍콩은 2019년 동월 대비 각각 175.4%, 135.3%, 108.8%를 기록하며 코로나 이전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 지역별로는 아중동 시장이 111.2%, 구미주 시장이 124.3%로 회복세를 보였으며, 1~7월 누적 방한객은 1056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9% 늘었다. 반면 내국인의 해외 관광객 수는 감소세다. 7월 국민 해외여행객은 243만 5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7% 줄었으나, 여전히 2019년의 92.2% 수준까지 회복됐다. 1~7월 누적 해외 출국자는 1700만 명에 달한다. 이번 통계는 한국 관광이 ‘양적 회복’을 넘어 ‘질적 성장’ 과제를 안고 있음을 보여준다. 외래객은 증가세지만 체류 기간과 소비 구조는 여전히 쇼핑·음식에 집중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