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뉴스트래블) 차우선 기자 = 말라리아와 진드기는 무더위의 복병이다. 특히 동남아 등 열대 지방으로 여행을 계획한다면, 이 복명으로 발생하는 감영병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우리가 과거보다 영양 상태는 좋아졌지만 감염병 환자들이 증가하는 배경에는 기후변화, 국제교류가 늘어난 이유도 있지만, 해외여행의 증가도 크게 한 몫 한다. 어떻게 하면 이들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해외여행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1. 해외 여행 시: 말라리아 예방말라리아는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감염병으로 5~10월까지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위험하다. 예방 팁- 여행 전 예방약 복용 여부를 보건소나 병원에서 확인.- 모기 활동이 활발한 밤 시간대에는 외출을 자제.- 모기 기피제 사용 및 긴 옷 착용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 숙소에서는 창문을 닫고 모기장 사용 권장.- 야외 활동 후 샤워로 모기 접촉 가능성 최소화. * 말라리아는 증상이 늦게 나타날 수 있어, 여행 후에도 발열·오한이 지속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일반적으로 7~30일, 잠복기는 최대 2년이다. 2. 국내 여행 시: 진드기 감염병 예방봄부터 가을까지(4~11월) 등산·캠핑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 감염병에 주의
(태국=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동물의 세계엔 나름 질서가 있다. 인간 역시 동물이기에 사람들이 사는 세상엔 질서가 존재한다. 이 질서는 그 사회를 지탱하는 힘이다. 사회의 질서가 무너지면 혼란과 혼돈 속으로 빠져 든다. 심지어 그 사회의 근간이 흔들려 체재의 몰락까지 올 수 있다. 질서는 규율과 규칙을 기본으로 한다. 서로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예의나 예절이다. 서양에서는 매너로 표현한다. 나라마다 체재를 유지하고 지탱하기 위한 기본적인 매너가 있다. 이 매너는 문화나 역사가 다르기 때문에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외국 여행할 때, 이 조그만 차이를 몰라 곤란하거나 곤혹을 치를 수 있다. 이래서 외국 여행 전 그 나라의 예절을 한 번 정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태국은 어떤 경우가 예의에 어긋나는지 살펴보자. ◇ 머리를 쓰다듬거나 발로 가리키는 행동 태국 사람들은 머리를 쓰다듬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친밀함을 표하는 행동이라도 삼가는 것이 좋다. 고의건 아니건 상대방의 머리를 건드렸다면 즉시 사과 해야 한다. 특히, 손이 아닌 발로 사람이나 물건을 가리키는 행동은 무척 무례한 행동이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상대방을 오래 쳐다 보면,
(태국=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태국의 공식 화폐 단위는 밧(Baht, B)이고, ISO 4217 코드는 THB다. 밧은 지폐와 동전으로 나뉜다. 1밧은 100사땅(Satang, St)이다. 동전은 보통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서 간혹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 지폐는 연한 갈색인 10B, 녹색인 20B, 푸른색인 50B, 붉은색인 100B, 보라색의 500B, 갈색의 1,000B(밧) 등 6가지 종류가 있다. 동전은 25St, 50St, 1B, 5B, 10B 등 5가지 종류가 있으며, 모든 지폐에는 현재 태국 국왕인 라마 9세의 초상이 새겨져 있다. 태국에서는 국왕이나 왕실을 모독하는 불경죄를 범하면 형법에 따라 최저 3년에서 최고 15년의 징역형 또는 벌금에 처해지거나 감옥에 갈 수 있다. 따라서 지폐나 동전을 일부러 훼손하거나 지폐가 들어있는 지갑째로 밟지 않도록 주의하자.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팁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은 해외여행 할 때 어떤 경우에 얼마를 줘야 할지 혼란스러울 때가 많다. 만족도는 별론데, 영수증엔 분명 봉사료도 있고 그런데 또 팁을 줘야 하나, 고민될 때가 종종 있다. 팁의 사전적 의미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주는 돈이다. 원래는 자발적인 의사로 주는 돈이다. 그러나 문화권에 따라 암묵적으로 청구서의 일정 비율만큼 더 주는 것을 관례로 삼는 곳도 있다. 아시아 대륙은 팁 문화가 거의 없다. 고급 호텔과 레스토랑 서비스에 대해 고정 비율의 봉사료(서비스 요금)를 부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시아 지역은 10% 정도의 봉사료가 표준화돼 있다. 대부분 청구서에 명시돼 있다. 일본의 경우 봉사료 개념은 서비스료(サービス料 / Service Charge)와 고코로즈케(心づけ)으로 나뉜다. 팁 문화가 정착돼 있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료를 청구하기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 고코로즈케는 팁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장례식, 결혼식과 같은 관혼상제에서 큰 도움을 받은 상대(담당자 등)나 여관 직원, 운전기사 등의 접대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챙기는 현금이다. 서비스료는 팁 문화를 대체
(안산=뉴스트래블) 차우선 기자 =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여름휴가 시즌이 열렸다. 설레는 여행이지만, 예기치 못한 위험요소를 고려하지 않으면 오히려 고생스러운 기억으로 남을 수 있다. 특히 최근 전국적으로 진드기 감염병(SFTS)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폭염 특보, 응급 구조 지연 사례도 늘고 있다. 단단한 여행 준비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올여름, 즐겁고 건강하게 여행을 즐기기 위한 실속 팁과 안전 가이드를 정리했다. ◇ 여행을 즐겁고 안전하게 보내는 7가지 팁 1. 성수기 피하고 미리 예약하기 7월 말~8월 초는 요금이 폭등하고 인파도 가장 많다. 가능하면 7월 중순 이전 또는 8월 중·하순으로 일정을 조정하자. 2. 폭염 대비 ‘생존템’ 챙기기 휴대용 선풍기, 자외선 차단제, 쿨링 스프레이, 모자, 생수 등은 필수. 고온다습한 날씨에는 열사병 예방을 위한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그늘 휴식이 중요하다. 3. 병원·약국·응급실 정보 미리 확인하기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응급의료정보응급의료앱 이용 시 전국 응급실 운영 여부, 대기 인원, 진료과목 등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행지 근처 의료기관 위치는 출발 전 반드시 확인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