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17일 발간한 항공소비자 리포에 따르면, 지난 5월 국제선 주요 지역별 항공사 시간 준수율은 일본 노선이 90% 이상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동남아·유럽 노선은 70%대 이하에 머무르며 뚜렷한 격차를 보였다. 일본 노선에서는 전일본공수(ANA, 97.9%)와 일본항공(95.7%)이 높은 정시성을 보였으며,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95.2%)도 상위권에 올랐다. 중국 노선에서는 청도항공(94.7%), 에어서울(92.9%) 등이 좋은 성적을 거뒀다. 동북아 노선에서는 몽골항공(92.9%)과 에어부산(92.6%)이 우수했고, 동남아는 라오항공(95.7%), 로얄브루나이항공(100%)이 정시 운항을 기록했다. 반면 일부 항공사는 낮은 시간 준수율을 보였다. 일본 노선에서는 에어재팬(51.6%)과 피치항공(69.1%)이, 중국 노선에서는 심천항공(67.0%)과 중국천진항공(70.6%)이 저조했다. 특히 동남아 노선에서는 말린도항공이 28.0%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유럽 노선에서는 아시아나항공(34.0%)과 대한항공(70.5%)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대양주 노선에서는 젯스타항공(48.
(서울 = 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지난 5월 국내선과 국제선 항공편 지연률이 각각 20.0%와 21.1%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평균 지연시간은 국내선 35.7분, 국제선 39.6분으로 집계됐다. 국내선 공항 가운데 지연률이 가장 높은 곳은 원주공항(41.9%), 군산공항(31.2%)으로 나타났다. 반면 김해(20.3%), 제주(20.3%), 김포(21.5%) 등 주요 거점 공항도 20% 안팎의 지연률을 기록해 전체 평균(20.0%)을 끌어올렸다. 평균 지연시간은 제주(37.3분), 청주(37.7분), 울산(36.3분) 등이 상대적으로 길었다. 국제선은 인천공항 지연률이 23.6%, 평균 지연시간 39.1분으로 집계됐다. 청주공항은 지연률 20.1%에 지연시간이 무려 59.6분으로 가장 길었다. 대구공항 역시 12.1%의 지연률에 평균 지연시간 49.4분으로 나타나 지방 공항에서 지연 체감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지연 사유를 보면, 항공기 연결 지연이 국내선의 80.3%, 국제선의 50.1%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전편 항공기 도착 지연이 후속 편 운항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이외에 공항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17일 항공소비자 리포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5월 국내선 지연율은 20.0%로 집계됐으며, 노선별로는 제주 노선 21.0%, 내륙 노선 13.5%로 나타났다. 항공사별로 보면, 제주 노선에서는 이스타항공이 김포–제주(35.1%), 김해–제주(38.5%), 대구–제주(27.5%) 등 가장 높은 지연률을 기록했다. 진에어도 김포–제주(30.4%), 김해–제주(32.4%), 청주–제주(32.1%) 등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 대한항공은 김포–제주 22.1%, 아시아나항공은 16.5%로 대형항공사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내륙 노선에서는 이스타항공의 여수–김포 노선 지연률이 36.3%로 가장 높았고, 진에어는 울산–김포(20.8%)에서 높은 지연률을 보였다. 아시아나항공(김해–김포 4.7%), 에어부산(6.2%)은 낮은 편이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저비용항공사(LCC)의 평균 지연률은 25.2%로, 대형항공사(16.8%)보다 8.4%p 높았다. 평균 지연시간도 저비용항공사가 35.4분으로 대형항공사(36.9분)보다 다소 짧았으나, 전반적으로 지연 발생 빈도는 LCC가 훨씬 많았다. 항공 당국은 “항공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서울관광재단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국립중앙박물관’과 ‘태릉’ 현장영상해설 투어 코스를 신설해 9월 1일부터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현장영상해설은 시각장애인의 여행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동선 안내와 공간·시각적 묘사, 촉각·청각 체험을 결합한 전문 해설 프로그램이다. 재단은 2019년부터 해설사 양성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1개 코스를 마련했다. 새롭게 선보이는 국립중앙박물관 코스에서는 선사·고대 유물을 감상하고 감각전시실에서 성덕대왕신종의 소리를 체험할 수 있다. 태릉 코스에서는 전시관과 정자각, 소나무 숲길 등을 둘러보며 역사적 의미를 배우고 촉각 안내판과 석수 모형을 통한 체험이 가능하다. 투어는 약 3시간 동안 진행되며, 사전 교육을 이수한 현장영상해설사가 해설을 맡는다. 예약은 현장영상해설 사무국 또는 서울다누림관광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참가자는 보호자 또는 활동보조인과 함께해야 하며, 재단이 운영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을 이용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모두투어는 구독자 35만 명을 보유한 인기 여행 유튜버 ‘파파트래블’과 함께 몰디브 럭셔리 리조트 ‘오블루 샹겔리’ 기획전을 출시했다. 예약은 오는 30일까지 가능하다. 이번 상품은 파파트래블이 직접 현지를 방문해 촬영한 영상과 후기를 기반으로 구성됐다. 대표 상품인 ‘파파트래블' 몰디브 오블루 샹겔리 6일’은 비치빌라 2박과 워터빌라 2박 투숙을 포함해 몰디브의 대표 객실을 모두 경험할 수 있다. 리조트는 말레 국제공항에서 스피드보트로 약 50분 거리에 위치한 5성급 시설로, 다양한 객실 타입과 해양 액티비티, 키즈 프로그램, 웰니스 클래스 등 다채로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3가지 콘셉트의 레스토랑을 포함한 올인클루시브 미식 혜택과 $100 상당의 익스커션이 포함된다. 특별 혜택으로 선착순 예약자 100명에게 10만 원 여행 지원금 쿠폰이 증정되며, 관련 영상은 모두투어 공식 홈페이지와 파파트래블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하나투어의 인바운드 전문 계열사 하나투어ITC가 네이버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네이버 인바운드 여행 공식 예약 파트너사’로 선정됐다. 이번 협력으로 하나투어ITC는 네이버 플랫폼 내에서 방한 외국인 대상 여행상품을 공급하고, 네이버 플레이스 시스템과 연동해 간편 예약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투어, 체험, 액티비티 등 K-컬처·K-푸드 중심의 다양한 한국 문화 체험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인바운드 여행 공식 예약 파트너사’는 네이버가 정한 기술·품질 기준과 사용자 경험 요건을 충족한 업체에만 부여되며, 플랫폼 내에서 직접 예약 연동이 가능하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대체숙박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행한 ‘2025 우수 서울스테이’ 공모에서 최종 18곳을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서울스테이’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한옥체험업 등 대체숙박업이 등록할 수 있는 서울 대표 브랜드로, 현재 670여 개 업체가 등록돼 있다. 이번 공모에는 63곳이 지원해 3.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심사는 서류평가와 현장평가로 진행됐으며, 위생·안전관리, 고객 서비스, 차별성, 주민과의 소통, 생활폐기물 관리 등 지속 가능한 운영 노력이 주요 기준으로 반영됐다. 선정된 숙소에는 최대 500만 원의 시설 개선비와 함께 외국인 체험단 협업, SNS 홍보 등 다양한 지원이 제공된다. 대표적인 선정 숙소로는 △북촌 전통 한옥 ‘락고재 북촌빈관’ △북한산 전망이 특징인 ‘덕선재’ △한강변 휴식 공간 ‘흑석함께집 비앤비’ △홍대 문화 특화형 ‘라라게스트하우스’ 등이 포함됐다.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태국은 ‘미소의 나라’로 불릴 만큼 따뜻한 국민성과 여유로운 삶의 태도로 유명하다. 그러나 외국인이 현지의 생활문화를 존중할 때 비로소 진정한 환대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태국에서 가장 기본적인 인사는 ‘와이(Wai)’다. 두 손바닥을 합쳐 가슴이나 턱 부근에 대고 머리를 숙이는 방식으로, 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먼저 인사를 한다. 여행객이 이를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존중의 태도를 보이는 것만으로도 호감을 얻기에 충분하다. 또한 태국에서는 머리와 발에 대한 인식이 독특하다. 머리는 신성하게 여겨 다른 사람의 머리를 만지는 행위는 무례로 간주된다. 반대로 발은 가장 낮은 부위로 여겨지기 때문에 발로 사람이나 물건을 가리키는 것도 피해야 한다. 감정 표현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다. 태국 사회에서는 공공장소에서 화를 내거나 큰소리로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꺼린다. 미소와 유머로 상황을 풀어가는 것이 오히려 태국식 문제 해결법으로 받아들여진다. 사람을 부를 때는 이름 앞에 존칭인 ‘쿤(Khun)’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름이 길거나 발음하기 어려운 경우 태국인들은 스스로 짧은 애칭을 사용
(서울=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올해로 10회를 맞이하는 ‘타이 페스티벌’이 다음달 6일부터 7일까지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주한태국대사관이 주최하고 태국정부관광청, 주한태국대사관 상무관실·노무관실 등 ‘팀 타일랜드(Team Thailand)’가 함께한다. 슬로건은 'Discover Thailand, 한국에서 만나는 태국, 태국을 만나다'다.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태국과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무예 공연이다. 세계적인 무에타이 파이터 ‘부아카오’가 직접 시연을 펼치고, 한국의 국기원 태권도 시범단도 무대를 꾸민다. 이외에도 태국 전통 가면극 ‘콘(Khon)’, 현대 태국무용, 파타야 시티 특별공연 등이 관객을 맞이한다. 올해 페스티벌에는 태국 대중음악 T-POP 아티스트들도 대거 참여한다. 라인업은 △포스 나타왓(FOURTH NATTAWAT)·나논 코라팟(NANON KORAPAT)·펠리즈(FELIZZ) △잉크 와룬톤(INK WARUNTORN)·시리어스 베이컨(SERIOUS BACON) △파이드 x 뉴 겔보이즈(Pide x New GELBOYS) △앨리(ALLY) + Jetaime △아틀라스(ATLAS) △퍼세스(PERSES)·비이스(VIIS)
(태국=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태국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태국 북동부 반치앙(Ban Chiang) 마을에서는 약 5천6백 년 전 청동기 문명의 흔적이 발견됐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기 문화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이후 중국 남부에서 남하한 타이족과 여러 민족들이 이 땅에 정착하며 오늘날의 태국을 형성해 갔다. 13세기 타이족은 크메르 지배에서 벗어나 수코타이(Sukhothai) 왕국을 세웠다. ‘행복의 새벽’이라는 뜻을 가진 이 나라는 불교와 문자, 예술을 발전시켜 태국 문화의 뿌리를 만들었다. 이후 아유타야(Ayutthaya) 왕국이 400년 넘게 번영하며 동남아 교역의 중심지가 됐고, 인도·중국·아라비아·유럽과도 교류했다. 그러나 1767년 버마 침공으로 아유타야는 무너졌다. 혼란은 길지 않았다. 딱신(Taksin) 왕이 나라를 다시 세우고, 1782년 짝끄리(Chakri) 왕조가 시작되면서 수도는 방콕으로 옮겨졌다. 라마 4세와 라마 5세 시기에는 서구 열강의 압박 속에서도 지혜로운 외교와 근대화를 통해 독립을 지켜냈다. 이 점은 동남아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태국 역사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대목이다. 태국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