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구 도시 샤먼(厦门). 석양이 물든 하늘 아래, 연못 위 정자와 수놓인 연잎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진다. 저 멀리 솟아오른 두 개의 빌딩은 샤먼의 새로운 랜드마크 쌍둥이 빌딩(世茂海峡大厦, Shimao Straits Towers). 전통 정원 풍경과 현대 초고층 건축물이 한 화면에 담기며 샤먼의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보여준다. 해안가에서 바라본 트윈타워는 또 다른 매력을 발산한다. 잔잔한 물결 위로 반사되는 건물의 실루엣은 도시와 바다가 이어지는 풍경을 만들어낸다. 돛을 형상화한 두 개의 타워는 샤먼이 지닌 해양 도시의 정체성을 상징하듯 우뚝 서 있다. 샤먼은 ‘해상의 정원 도시’라 불리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구랑위(鼓浪屿, Gulangyu)와 함께 중국 남부 여행지로 사랑받고 있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풍경은 여행자들에게 색다른 감흥을 선사한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중국 쓰촨성 청두(成都)의 대표 번화가 춘시루(春熙路)가 밤이 되자 황금빛으로 물들었다. 네온사인과 대형 전광판으로 가득한 거리를 가득 메운 시민과 관광객들은 쇼핑과 야경을 동시에 즐기며 활기를 더한다. 쇼핑과 문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이 거리는 청두의 밤을 가장 잘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다. ◇ 번화가의 활기 네온사인과 대형 전광판으로 가득한 거리에는 밤늦도록 시민과 관광객이 모여든다. 전통적인 시계탑 건물과 화려한 불빛이 어우러지며, 청두의 도시적 매력을 배가시킨다. ◇ 황금빛으로 빛나는 전통 누각전통 누각 양식으로 꾸며진 '四川黄金楼(쓰촨 황금루)’는 금빛 장식과 붉은 등불로 거리의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 귀금속을 판매하는 매장이지만, 화려한 외관만으로도 관광객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 봉황이 수놓은 보석 매장1848년 창립된 ‘老凤祥银楼(라오펑샹 은루)’는 봉황과 용의 조형물이 장식된 웅장한 외관으로 주목받는다. 180년 넘는 역사를 지닌 중국 대표 보석 브랜드로, 전통과 현대를 잇는 공간이다. ◇ 청두의 상징, 대형 판다청두 IFS(국제금융센터) 쇼핑몰 외벽에는 거대한 판다 조형물이 매달려 있어 청두를 찾는 관광객들의
[뉴스트래블=박주성 기자]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엔의 저녁은 해가 지고 나서 더욱 활기를 띤다. 메콩강변에 자리한 비엔티엔 야시장은 매일 저녁, 현지인과 관광객들로 북적이며 도시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사진 속 야시장은 형형색색의 천막 아래 펼쳐진 다양한 상점들로 가득하다. 의류, 액세서리, 어린이용품 등 다양한 상품들이 진열되어 있고, 거리 곳곳에는 라오스 전통 음식과 음료를 판매하는 푸드트럭과 노점이 줄지어 있다. 특히 코끼리 문양의 바지나 ‘라오스’ 프린트 티셔츠는 여행자들에게 인기 있는 아이템이다. 야시장은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지역 주민과 여행자들이 교류하는 문화의 장이다. 가족 단위의 현지인들이 놀이공원과 함께 야시장을 즐기고, 외국인 관광객들은 흥정을 통해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하며 현지 문화를 체험한다. 시장 한편에는 라오스 전통 음식이 가득하다. 바삭한 야끼 소시지, 매콤한 돼지고기 꼬치, 쫄깃한 라이스 케이크와 코코넛 밀크 디저트까지 - 비엔티엔 야시장은 미식가들의 천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야시장은 보통 저녁 6시부터 문을 열며, 메콩강 너머로 펼쳐지는 황금빛 일몰과 함께 본격적인 장이 시작된다. 이곳을 찾은 이들은 쇼핑과
[뉴스트래블=관리자 기자] 부천 도당공원 내 백만송이장미원이 가을 장미의 향연으로 시민들을 맞이한다. 2만㎡ 부지에 150여 종, 2만 5천 그루의 장미가 조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무료 개방 장미원이다. 장미는 10월 초부터 중순까지 순차적으로 개화하며, 선명한 색감과 짙은 향기로 가을 정취를 더한다. 부천시는 가지치기, 병해충 방제 등 생육 관리를 강화하고 관람로와 편의시설을 정비해 쾌적한 관람 환경을 조성했다.
(라오스=뉴스트래블) 박주연 기자 =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에는 두 개의 상징적인 건축물이 서로 다른 언어로 역사를 말한다. 하나는 독립의 염원을 담은 기념비, 다른 하나는 침묵 속 신념을 지켜온 사찰. 도심 중심에 자리한 빠뚜싸이(Patuxai)는 1957년부터 1968년까지 건립된 ‘승리의 문’으로, 프랑스 식민지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한다. 외형은 파리의 개선문을 닮았지만, 라오스 전통 문양과 신화적 상징이 더해져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탑 꼭대기 전망대에 오르면 비엔티안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며, 주변의 분수와 정원은 시민과 여행자 모두에게 휴식처가 된다. 그와 대조적으로, 왓 씨사켓(Wat Sisaket)은 1818년 아누봉 왕에 의해 건립된 라오스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이다. 태국식 건축 양식으로 지어져 1828년 시암군의 침략에서도 파괴되지 않고 살아남았다. 회랑을 따라 2000개 이상의 불상이 정렬돼 있으며, 벽면의 작은 불상들이 반복적으로 배치돼 고요한 명상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에는 자타카 벽화와 불교 고서들이 보관돼 있어 라오스 불교의 정신적 깊이를 보여준다. 빠뚜싸이는 하늘을 향한 외침이고, 왓 씨사켓은 땅에 뿌리내린 침묵이다. 두
(필리핀=뉴스트래블) 박주성 기자 = 필리핀 수도 마닐라의 옛 성곽 도시 인트라무로스(Intramuros)가 오늘날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명소로 사랑받고 있다. 16세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건설된 이 성벽 도시는 ‘벽 안의 도시’라는 이름처럼 두꺼운 석벽과 해자에 둘러싸여 있다. 이곳은 당시 정치·군사·종교의 중심지였으며, 스페인 통치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역사적 공간이다. 인트라무로스에는 산티아고 요새, 마닐라 대성당, 성 어거스틴 성당 등 유서 깊은 건축물이 자리하고 있어, 방문객들은 도시를 거닐며 필리핀의 격동의 역사와 정체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산티아고 요새는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이 수감됐던 장소로, 그의 마지막 흔적을 따라 걸을 수 있는 의미 깊은 명소다. 오늘날 인트라무로스는 단순한 유적지를 넘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복원된 거리와 전통 마차, 박물관과 갤러리들이 어우러져,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역사적 울림과 함께 현대적 감성을 동시에 선사한다.
(필리핀=뉴스트래블) 박주성 기자 = 필리핀 루손섬 바탕가스 주에 자리한 따알 화산(Taal Volcano) 은 한적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지만, 언제든 깨어날 수 있는 활화산이다. 따알 화산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활화산 중 하나로, 화산섬을 둘러싼 따알 호수와 그 안에 또 다른 분화구 호수가 존재하는 독특한 지형으로 유명하다. 이로 인해 '호수 속의 섬, 섬 속의 호수'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관광객들에게는 빼어난 풍광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 아름다움 속에는 늘 긴장이 공존한다. 따알 화산은 최근 수십 년간 여러 차례 분화를 일으켰으며, 2020년에는 거대한 화산재와 용암 분출로 마닐라 인근까지 피해를 입히기도 했다. 현재 따알 화산은 활발한 화산 활동 지대로 분류되며, 필리핀 지진화산연구소(PHIVOLCS)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이어가고 있다. 아름다움과 위협이 공존하는 따알 화산은 자연 앞에서 겸손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라오스=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 한복판에는 시민들의 정신적 안식처로 자리한 사찰, 왓 씨무앙(Wat Si Muang)이 있다. 화려한 황금빛 장식과 붉은 기둥이 어우러진 사찰 정문은 멀리서도 한눈에 들어오며, 방문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이곳은 단순한 불교 사찰을 넘어, 비엔티안의 수호신이 깃든 성소로 알려져 있다. 전해지는 설화에 따르면, 16세기 이 사찰을 건립할 당시 한 여인이 도시의 평안을 기원하며 제물로 몸을 던졌다. 이후 왓 씨무앙은 비엔티안을 지켜주는 신성한 장소로 자리매김했다. 사찰 내부에는 거대한 북을 매단 2층 목탑과 황금 불상들이 장엄하게 배치돼 있으며, 경내 곳곳에는 라오스 전통 조각상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특히 이곳의 불단 앞에는 소원 성취를 기원하는 현지인들의 기도와 제물이 끊이지 않는다. 사업 번창, 건강, 가족의 평안을 비는 라오스인들의 진지한 신앙심은 사찰을 더욱 특별한 공간으로 만든다. 왓 씨무앙은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인기 있는 명소다. 현지인들과 함께 향을 피우고 기도하거나, 사찰의 화려한 건축미와 라오스 불교 문화를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오스인들에게 있어 왓 씨무앙은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