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박주성 기자] 스칸디나비아항공(SAS)은 13일 인천–코펜하겐 직항 노선을 개설하며 한국과 북유럽을 직접 연결하는 신규 항공편을 운항했다. 첫 항공편은 탑승률 99%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다. 신규 노선은 2025년 가을 시즌 주 4회(월·수·금·일) 운항되며, 겨울 시즌에는 주 3회로 조정된다. SAS는 2026년 여름부터 주 6회까지 증편할 계획이다. 투입 기종은 최신형 에어버스 A350이며, 여객과 화물 수송 역량을 동시에 강화할 예정이다. SAS는 코펜하겐 허브를 통해 유럽 100여 개 도시로 연결편을 제공하며, 이번 노선 개설은 아시아–유럽 환승 수요 확대와 인천공항의 글로벌 허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는 첫 운항을 기념해 게이트 행사와 워터살루트 세리머니가 열렸으며, SAS 관계자와 주한 덴마크 대사, 인천국제공항공사 등이 참석해 노선 개설을 축하했다.
[뉴스트래블=정국환 기자] 유니온페이 인터내셔널(UPI)은 지난 11일, 중국과 인도네시아 간 QR 결제 연동 시범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양국 중앙은행의 지도 아래 추진되며, 양국 간 국경을 넘는 모바일 결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시범 운영 단계에서는 중국 본토 사용자들이 유니온페이 및 알리페이 앱을 통해 인도네시아 QRIS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으며, 인도네시아 사용자들도 자국 모바일 결제 앱으로 중국 내 시범 가맹점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결제는 각국의 현지 통화로 처리된다. UPI는 인도네시아 결제 시스템 협회(ASPI), 앤트 인터내셔널, 중국은행(홍콩) 자카르타 지점 등과 협력 각서를 체결하고, 인도네시아 주요 스위치 네트워크와도 별도 계약을 맺으며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샌드박스 단계 이후, 해당 서비스는 2025년 내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하와이안항공이 오는 13일부터 인천-시애틀 직항 노선을 처음으로 운항한다. 알래스카 에어 그룹 산하인 하와이안항공은 보잉 787-9 드림라이너 기종으로 주 5회(월·목·금·토·일) 운항하며, 시애틀을 거점으로 알래스카항공의 연결편을 통해 북미 104개 도시로 이동이 가능하다. 신규 취항을 기념해 9월 17일까지 하와이안항공 공식 홈페이지 및 주요 여행사 채널을 통해 특가 프로모션도 진행된다. 인천-시애틀 및 포틀랜드, 샌프란시스코, 샌디에이고, 로스앤젤레스, 라스베이거스 등 북미 주요 도시 연결 노선의 왕복 이코노미 클래스 항공권을 40만 원대에 구매할 수 있으며, 유류할증료 및 세금이 포함된 가격이다. 하와이안항공은 이번 노선 개설로 시애틀을 미 서부의 글로벌 허브로 육성하고, 향후 2030년까지 12개 국제선 직항 노선을 추가할 계획이다.
[뉴스트래블=정국환 기자] 말레이시아항공그룹(MAG)이 네트워크 확장과 기내 서비스 강화를 통해 글로벌 성장 전략을 가속화한다. 말레이시아항공은 2026년 1월 9일부터 쿠알라룸푸르–청두 노선을 매일 운항하며, 자회사 파이어플라이(Firefly)는 2025년 11월부터 크라비·시엠립·세부 노선을 새롭게 취항한다. 이와 함께 호주, 뉴질랜드, 중국, 인도, 몰디브, 방글라데시 등 주요 노선에서 운항 편수를 늘린다. 기내 서비스 다양화를 위해 말레이시아항공은 사자갈기버섯으로 만든 채식 사테이를 일부 비즈니스 클래스 노선에서 새롭게 제공한다. MAG는 최신 기단 도입과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세계 10대 글로벌 항공사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1592년, 진주성 위로 날아오른 ‘비차(飛車)’는 단순한 전투용 연이 아니었다. 그것은 하늘을 향한 조선의 상상력이자, 한국 항공의 첫 장면이었다. 그리고 그 꿈은 4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끊임없이 진화해왔다. 1913년, 서울 용산 하늘에 일본의 ‘오토리호’가 모습을 드러내며 한반도 최초의 비행기가 등장했다. 1922년에는 안창남이 여의도 비행장에서 15분간의 비행을 선보이며 한국인 비행사의 시대를 열었다. 1925년에는 권기옥이 한국 최초의 여류 비행사로 중국 운남 항공학교에 입학하며, 여성의 하늘 도전도 시작됐다. 1930년대에는 정기 항공 노선이 개설되고, 1949년에는 대한민국 공군이 창설되며 항공은 국가 안보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1953년, 국산 항공기 ‘부활호’가 개발되며 기술 자립의 불씨가 지펴졌고, 1969년에는 대한항공이 발족하며 민간 항공 시대가 본격화됐다. 1980~90년대는 국산 전투기 ‘제공호’, 훈련기 ‘KT-1 웅비’, 초음속 훈련기 ‘T-50’ 등으로 이어지는 항공 기술의 도약기였다. 인천국제공항 개항(2001)은 한국을 세계 항공 허브로 끌어올리는 전환점이 됐고, 2024년 대한항공과 아시아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에어부산은 오는 추석 황금연휴 기간(10월 1~12일) 부산발 일본 나가사키 및 도야마 노선에 총 24편의 부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이번 부정기편은 부산-나가사키 노선 16편, 부산-도야마 노선 8편으로 구성되며, 명절 기간 집중되는 항공 수요를 충족하고 고객들에게 새로운 여행지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이다. 나가사키는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항구도시로, 과거 무역항으로 번성했던 이국적인 분위기와 다양한 먹거리로 여행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 부정기편은 부산과 나가사키를 잇는 첫 직항 노선으로, 보다 편리한 여행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야마는 일본 북알프스라 불리는 알펜루트의 시작점으로, 가을철 단풍으로 물든 산들이 장관을 이루는 인기 여행지다. 에어부산은 2018년부터 도야마 부정기편을 단독 운항해왔으며, 평균 80% 후반대의 탑승률을 기록하는 등 꾸준한 수요를 입증하고 있다. 항공권 예약은 하나투어, 노랑풍선, JT(일본여행), VJT, 투어폰, 더투어, 와이투어앤골프 등 지정 여행사를 통해 가능하다.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티웨이항공이 대명소노그룹에 인수된 후, 사명을 '트리니티항공(TRINITY AIRWAYS)'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그룹의 항공, 여행, 숙박 통합 서비스를 강조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새로운 사명 '트리니티'는 라틴어 'Trinitas'에서 유래하며, '셋이 하나로 모여 완전함을 이룬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기존의 항공 서비스에 호텔과 리조트를 결합해 고객에게 보다 풍요롭고 차별화된 여행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상징성을 강조했다. 사명 변경은 내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항공기 외관 도장 디자인을 포함한 전면적인 리브랜딩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공통 멤버십 제도와 맞춤형 패키지 상품을 선보여 그룹 차원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말레이시아 대표 저비용항공사 에어아시아가 2025년 2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항공업계의 회복 흐름을 이끌고 있다. 에어아시아의 모회사인 캐피털 A는 2분기 당기순이익이 8억8,400만 링깃(약 2,90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5억5,200만 링깃 손실에서 대폭 개선된 수치로, 국제 유가 하락과 아세안 통화 강세에 따른 외환 이익, 그룹 차원의 비용 최적화 전략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매출은 45억 링깃(약 1조4,791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9억3,100만 링깃(약 3,064억 원*으로 32%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을 입증했다. 특히 항공편 증편에도 불구하고 평균 탑승률 82%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한 점이 눈에 띈다. 이는 팬데믹 이후 회복세를 보이는 동남아 항공 시장에서 에어아시아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에어아시아는 하반기에도 노선 확대와 디지털 플랫폼 강화 전략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에어아시아의 실적 개선은 저비용항공사(LCC) 전반의 회복 가능성을 시사하는 긍정적 신호”라고 분석했다.
(필리핀=뉴스트래블) 정국환 기자 = 핀테크 기업 지캐시(GCash)가 3일, NFC 기반 비접촉식 결제 서비스 ‘Tap to Pay’를 출시했다. 알리페이+와 마스터카드의 협업으로 구현된 이 서비스는 전 세계 1억 5천만여 마스터카드 가맹점에서 간편하고 안전한 결제를 지원한다. 지캐시 운영사 G-Xchange의 렌-렌 레이예스 CEO는 “현금 없는 생태계를 위한 글로벌 솔루션”이라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밝혔다. 사용자는 NFC 지원 안드로이드폰으로 POS 단말기에 간단히 결제할 수 있으며, QR 코드 결제가 가능한 50여 개국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이번 솔루션은 강력한 보안 기술을 기반으로 일상적인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며, 필리핀 국민의 국내외 결제 편의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뉴스트래블) 박성은 기자 =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얼굴인식 출국 서비스인 ‘스마트패스’를 인천공항 제1·2여객터미널 전체 탑승구로 확대 적용해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스마트패스는 여권과 탑승권 없이 얼굴인식만으로 출국장과 탑승구를 통과할 수 있는 서비스로, 지난 2023년 7월 국내 공항 최초로 도입됐다. 기존에는 출국장에서만 이용 가능했으나, 시범 운영을 거쳐 이날부터 총 158개 탑승구에 단말기 설치를 완료하고 전면 확대 운영에 들어갔다. 현재 스마트패스 탑승구 이용이 가능한 항공사는 대한항공, 에어프레미아 등 11개 항공사로, 항공사별 인증 절차를 거쳐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사는 향후 협의를 통해 이용 가능 항공사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스마트패스 이용을 위해서는 전용 모바일 앱(ICN SMARTPASS) 또는 연계된 금융 앱(KB국민, 토스, 신한, 우리, 하나)을 통해 얼굴정보와 여권 진위 여부를 등록해야 한다. 등록 후에는 스마트패스 전용 출국장 및 탑승구 레인을 통해 빠르고 편리한 출국이 가능하다. 특히 제1여객터미널 2번 출국장과 제2여객터미널 2번 C/D 출국장은 스마트패스 전용으로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