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인천광역시와 인천관광공사는 8일부터 9일까지 인천 상상플랫폼에서 ‘2025 인천 로컬 페스타(제4회 제물포 웨이브 마켓)’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전국 70여 개 로컬 브랜드가 참여해 수제 맥주, 디저트, 수공예품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토크 프로그램과 DJ 공연, 체험 부스, 인사이트 투어 등 풍성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특히 ‘개항장 로컬 브랜드 인사이트 투어’와 반려견 문화행사 ‘개항장 댕댕 도서관’, 인천유나이티드FC 응원전 등 시민 참여형 콘텐츠가 눈길을 끈다. 현장 구매 이벤트와 쿠폰 증정 행사도 함께 진행되며, 인천 원도심 상권과 로컬 마켓 활성화를 위한 연계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올해 들어 가파른 회복세를 보이던 홍콩인 관광객의 방한 수요가 9월부터 급격한 둔화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관광공사 홍콩지사가 발행한 '2025년 10월 홍콩관광시장 리포트'에 따르면, 8월까지 누적 회복률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근접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항공사들의 운항 편수 감축으로 인한 항공 좌석 공급 감소가 결정적인 하락 요인으로 지목됐다. 누적 회복률 92.6% 달성… '2030 여성' 수요 견인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한국을 방문한 홍콩인 관광객은 2019년 동기 대비 92.6%의 높은 회복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로도 12.4% 증가한 수치로, 홍콩발 방한 시장의 견조한 회복세를 보여준다. 특히 방학 시즌이었던 7월(64,224명)과 8월(64,860명)에는 '2030 여성' 등 핵심 타깃층의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유치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 8월까지의 누적 관광객 수는 총 419,725명을 기록했다. 9월 이후 공급 쇼크 예고…국적 항공사 감편이 직격탄 하지만 9월부터의 유치 실적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리포트는 9월이 전통적인 해외여행 비수기라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중국 관광 시장이 코로나19의 여파를 완전히 털어내고 거침없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중국 관광업계 동향(25년 10월 2차)'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중국의 출입국자 수는 총 1억 7,800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2.9%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외국인 입국자 수가 크게 늘어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를 넘어선 글로벌 관광시장 재편 움직임이 감지된다. 외국인 무비자 입국 50% 육박, '관광대국' 위상 회복 중국 국가이민관리국 통계에 따르면, 3분기 출입국자 중 외국인은 총 2,013만 4,000명으로 전년 대비 22.3% 증가했. 특히 무비자로 중국에 입국한 외국인 수는 724만 6,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48.3% 급증했다. 중국 본토 거주자의 출입국자 수는 8,937만 2,000명으로 13.8% 늘었고, 홍콩·마카오·대만 거주자는 6,873만 1,000명으로 6.2% 증가했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일반 여권 569만 5,000장을 포함해 총 2,811만 7,000장의 홍콩·마카오·대만 왕래 증명서 등을 발급하며, 국내외 여행 수요 증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뉴스트래블=관리자 기자] 9월 싱가포르를 방문한 인바운드 관광객 수가 125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1.3%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 방문객 수는 88만 명으로 전년 9월 대비 6.8% 감소했으며, 평균 체류일 또한 3.39일로 4.7% 줄었다. 싱가포르 통계청과 관광청과 한국관광데이터랩 발표에 따르면, 2025년 9월 싱가포르 방문객 수 상위 3개국은 중국(20.7만 명), 인도네시아(17만 명), 말레이시아(12만 명) 순이었다. 한국은 3.6만 명으로 10위를 차지했다. 특히, 인도인 방문객 수는 9.9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 9월 대비 12.8%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평균 체류일도 5.77일로 길어 주목된다. 한편, 2025년 8월 싱가포르의 아웃바운드(해외 출국) 관광객 수는 71만 명으로 전년 8월 대비 8.2% 감소했다. 특이한 점은 전년 동기 대비 항공 이용(56만 명, 13.5%↓)보다 해상 이용(15만 명, 18.2%↑)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 한국을 방문한 싱가포르인 누적 수는 약 21만 명으로 전체 방한 국가 중 9위를 기록했다. 이번 통계는 글로벌 경기 변동 및 여행 트렌드 변화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체코는 유럽 한복판에 자리 잡았지만, 물가와 생활 여건 면에서는 서유럽보다 한결 여유롭다. 최근 몇 년간 ‘한 달 살기’ 목적지로 주목받는 이유는 유럽 특유의 문화와 생활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비용과 접근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수도 프라하는 고전적 아름다움과 현대적 편의가 공존하는 도시다. 중세 건축물로 가득한 올드타운과 블타바강변은 여행객에게 낭만을 선사하지만, 장기 체류자에게는 안정적인 생활 인프라가 더 큰 장점이다. Numbeo의 2025년 자료에 따르면 프라하의 생활비 지수는 서울 대비 약 78% 수준이며, 중심가 원룸 월세는 약 28,000~32,000체코 코루나(USD 약 1,200)다. 교통과 식비를 포함한 1인 월평균 체류비는 약 2,000달러로 서유럽 주요 도시보다 합리적이다. 안전도 역시 높다. Numbeo 기준 체코의 국가 안전지수는 75점으로 독일(63점), 프랑스(46점)보다 높다. 프라하는 밤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여성 단독 체류자나 디지털 노마드에게도 ‘유럽에서 편안한 도시’로 평가된다. 의료 서비스 접근성도 장점이다. 체코의 공공의료 시스템은 보편적 건강보험 형태로 운영되며, EU 평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한때 ‘한 달 살기’는 긴 휴가나 자유로운 직장인들의 특권처럼 여겨졌지만, 이제는 누구나 한 번쯤 계획하는 새로운 일상의 형태가 됐다. 2025년 현재, 이 흐름은 단순한 여행을 넘어 ‘삶의 실험’으로 자리 잡았다. 이번 [NT 심층 기획] 시리즈는 포르투갈, 대만, 헝가리, 멕시코, 아르헨티나, 베트남,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태국, 체코 등 10개국을 중심으로, 한국인이 실제로 한 달 이상 머물며 체류 환경을 평가한 결과를 추적했다. 주요 기준은 생활비, 안전지수, 의료 접근성, 인터넷 속도, 커뮤니티 환경 등이다. Numbeo와 Wise, Nomad List 등의 2025년 자료를 종합하면, 포르투갈·대만·헝가리는 안전지수 70점 이상, 생활비 지수는 서울 대비 60~80% 수준으로 나타났다. Ookla Speedtest 기준 평균 인터넷 속도는 150Mbps를 넘어, 원격근무 환경에서도 불편이 적었다. 반면 베트남과 콜롬비아는 저렴한 생활비가 강점이지만 의료 인프라와 공공안전 부분에서 아쉬움을 보였다. 주목할 점은 ‘가성비’ 중심에서 ‘삶의 질’ 중심으로 평가 기준이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저렴한 숙소와 간단한 식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30일, 런던에서 열린 권위 있는 시상식에서 ‘The World’s 50 Best Hotels 2025’ 리스트가 공개되며, Rosewood Hong Kong이 세계 최고의 호텔로 선정됐다. 지난해 3위였던 이 호텔은 올해 1위로 도약하며 아시아 호텔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2019년 개장한 Rosewood Hong Kong은 빅토리아 하버와 홍콩 스카이라인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65층 건물로, 탁월한 전망과 세련된 디자인, 정교한 서비스로 호평을 받아왔다. 이번 리스트에는 총 6개 대륙 22개 지역의 호텔이 포함됐으며, 그중 20곳은 올해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아시아는 20개 호텔이 순위에 오르며 가장 두드러진 지역으로 부상했고, 도쿄에서는 Bulgari Tokyo, Aman Tokyo, Janu Tokyo, The Tokyo Edition Toranomon 등 네 곳이 선정됐다. 홍콩과 방콕 역시 각각 세 곳의 호텔이 포함되며 아시아 도시들의 강세가 이어졌다. 유럽에서는 17개 호텔이 이름을 올렸고, 북미는 6곳, 아프리카는 3곳, 오세아니아와 남미는 각각 2곳씩 순위에 들었다. 특별상 수상자들도 주목을 받았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10월 초 중국의 국경절과 중추절이 겹친 8일간의 연휴는 그야말로 거대한 이동이었다. 중국 문화여유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8억 8800만 명이 여행을 떠났고, 관광 소비액은 약 8천억 위안(한화 약 1조 6천억 원)에 달했다.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중국 관광업계 동향(2025년 10월 1차)’은 이번 연휴를 “관광과 소비가 동시에 폭발한 시기”로 평가했다. ‘스마트 인프라’로 움직인 8억 명연휴 첫날인 10월 1일, 전국 철도 이용객이 2313만 명을 기록하며 하루 최대치를 세웠다. 중국철도그룹은 연휴 기간 전체 수송 인원이 2억 13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교통 인프라의 탄탄한 운영은 최근 중국 정부의 ‘스마트 관광’ 정책과 맞물려 있다. 문화여유부는 제14차 5개년 계획에 따라 전국 공공문화시설 3천여 개, 관광 서비스센터와 공공 화장실 15만 개를 확충하며 관광 편의 인프라를 대폭 개선했다. 관광 공공서비스의 디지털화도 가속화됐다. 모바일 예약, QR 기반 입장, AI 안내 시스템이 확산되면서 ‘스마트 관광지’의 개념이 도시를 넘어 전국 단위로 확장되고 있다. 소비 중심은 Z세대와 가족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중국 문화여유부(文化和旅游部)는 지난 1일부터 8일까지 이어진 국경절·중추절 연휴 기간 동안 중국 내 관광객이 8억 8800만 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한국관광공사가 지난 27일 공개한 ‘중국 관광업계 동향(2025년 10월 1차)’에 따르면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수치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휴 기간 국내 관광 소비액은 약 8천억 위안(한화 약 1조 6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15.4% 늘었다. 문화여유부는 교통, 숙박, 공연, 외식 등 전 분야에서 소비가 크게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국가이민관리국(国家移民管理局)은 같은 기간 출입국 인원이 총 1634만 3천 명으로 전년 대비 11.5%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그중 외국인 입국자는 75만 1천 명, 무비자 입국자는 53만 5천 명으로 46.8% 급증했다. 중국철도그룹(中国铁路集团) 집계에 따르면 연휴 동안 전국 철도 이용객은 총 2억 13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8.6% 늘었다. 하루 평균 1776만 명이 이동했으며, 10월 1일 하루 이용객이 2313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한국관광공사가 최근 발간한 ‘중국 관광업계 동향(2025년 10월 1차)’에 따르면, 필리핀주중대사관은 오는 11월부터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전자비자(e-Visa) 발급을 재개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는 관광 또는 비즈니스 목적의 단기 체류(14일 이내)에 적용되며, 전자비자 소지자는 마닐라국제공항과 막탄세부국제공항으로만 입국할 수 있다. 필리핀 정부는 중국 관광객의 재유입을 통해 관광시장 회복과 양국 경제 교류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