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2025년 여름, 국민은 다시 여행을 떠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지난달 발표한 2025년 2분기 국민여행조사(잠정치)에 따르면, 국민의 여행 선택은 단순한 관광지를 향한 이동이 아니라, 자신을 회복하고 재구성하는 공간을 찾는 ‘감정적 흐름’으로 변하고 있다. 도시와 자연 중 어디로 향했는지는 세대별·목적별로 뚜렷하게 갈라졌다. 2분기 국내여행 경험률은 51.5%로 전년 동기(51.1%) 대비 소폭 상승했다. 반면 관광여행 경험률은 46.4%로 0.6%p 하락했다. 이는 단순한 관광보다 힐링·재충전 등 개인적 목적 중심의 여행이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도시형 여행, 여전히 ‘핫’하다 도시형 여행지는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서울과 부산은 각각 ‘복합문화도시’와 ‘해양도시’로서의 매력을 발휘하며 젊은 세대의 발걸음을 이끌었다.서울은 전통과 현대, 로컬과 글로벌이 교차하는 도시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소비형 체험이 여행의 중심이 됐다. 부산은 바다와 도시가 맞닿은 풍경 속에서 ‘도 시 속 휴양지’로 인식되며 젊은 층의 주말여행지로 자리 잡았다. 자연형 여행, 회복의 공간으로 반면 자연형 여행지는 ‘감성 회복’의 공간으로 부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지난 9월, 2025년 2분기 국민여행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국내 여행지 선호도와 여행 행태를 분석한 결과, 국민이 선택한 여행지에는 단순한 관광 목적을 넘어 시대적 감정과 생활양식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2분기에도 국민이 가장 많이 방문한 여행지로 집계됐다. 자연경관과 다양한 체험 콘텐츠, 항공 접근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혼행족, 커플, 가족 단위 등 다양한 유형의 여행객에게 고른 만족도를 보였으며, ‘멀리 있지만 가장 가까운 곳’이라는 인식이 지속되고 있다. 제주는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걷고 머물고 바라보며 자신을 회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강원도는 강릉, 속초, 평창 등 동해안과 내륙 지역을 중심으로 방문율이 상승했다. 캠핑, 서핑, 로컬 카페 투어 등 MZ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콘텐츠가 확산되면서 젊은 층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자연 속에서 도시적 감성을 체험할 수 있는 강원도는 ‘자연 속의 도시’라는 이미지로 재조명되고 있다. 전북권에서는 전주와 군산이 주목받았다. 전주는 한옥마을과 전통문화 체험, 군산은 근대 건축과 골목 관광이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구 도시 샤먼(厦门). 석양이 물든 하늘 아래, 연못 위 정자와 수놓인 연잎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진다. 저 멀리 솟아오른 두 개의 빌딩은 샤먼의 새로운 랜드마크 쌍둥이 빌딩(世茂海峡大厦, Shimao Straits Towers). 전통 정원 풍경과 현대 초고층 건축물이 한 화면에 담기며 샤먼의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보여준다. 해안가에서 바라본 트윈타워는 또 다른 매력을 발산한다. 잔잔한 물결 위로 반사되는 건물의 실루엣은 도시와 바다가 이어지는 풍경을 만들어낸다. 돛을 형상화한 두 개의 타워는 샤먼이 지닌 해양 도시의 정체성을 상징하듯 우뚝 서 있다. 샤먼은 ‘해상의 정원 도시’라 불리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구랑위(鼓浪屿, Gulangyu)와 함께 중국 남부 여행지로 사랑받고 있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풍경은 여행자들에게 색다른 감흥을 선사한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조니워커가 패션 디렉터 올리비에 루스테잉과 두 번째 협업한 한정판 스카치위스키 ‘더 쿠튀르 블렌드(The Couture Blend)’를 3일 출시했다. ‘조니워커 볼트(Johnnie Walker Vault)’ 플랫폼을 통해 선보인 이번 제품은 루스테잉의 40번째 생일을 기념해 제작됐으며, 최소 40년 이상 숙성된 위스키와 고스트 증류소 위스키, 현대 실험적 위스키를 결합해 완성됐다. 마스터 블렌더 엠마 워커 박사는 포트 던다스·칼레도니안 등 폐쇄 증류소의 희귀 위스키와 로즈아일, 티니닉, 포트 엘런 캐스크 등을 사용해 독창적인 풍미를 구현했다고 밝혔다. 루스테잉은 전통적 사각 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크리스털 디캔터 디자인을 직접 참여했으며, 금빛 장식과 대형 사각 마개로 건축적 미학을 더했다. 제품은 개별 번호가 부여된 1500개 한정판으로 제작되며, 권장 소비자가격은 2500달러다. 판매는 일부 럭셔리 소매점을 통해 이뤄진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중국 쓰촨성 청두(成都)의 대표 번화가 춘시루(春熙路)가 밤이 되자 황금빛으로 물들었다. 네온사인과 대형 전광판으로 가득한 거리를 가득 메운 시민과 관광객들은 쇼핑과 야경을 동시에 즐기며 활기를 더한다. 쇼핑과 문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이 거리는 청두의 밤을 가장 잘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다. ◇ 번화가의 활기 네온사인과 대형 전광판으로 가득한 거리에는 밤늦도록 시민과 관광객이 모여든다. 전통적인 시계탑 건물과 화려한 불빛이 어우러지며, 청두의 도시적 매력을 배가시킨다. ◇ 황금빛으로 빛나는 전통 누각전통 누각 양식으로 꾸며진 '四川黄金楼(쓰촨 황금루)’는 금빛 장식과 붉은 등불로 거리의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 귀금속을 판매하는 매장이지만, 화려한 외관만으로도 관광객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 봉황이 수놓은 보석 매장1848년 창립된 ‘老凤祥银楼(라오펑샹 은루)’는 봉황과 용의 조형물이 장식된 웅장한 외관으로 주목받는다. 180년 넘는 역사를 지닌 중국 대표 보석 브랜드로, 전통과 현대를 잇는 공간이다. ◇ 청두의 상징, 대형 판다청두 IFS(국제금융센터) 쇼핑몰 외벽에는 거대한 판다 조형물이 매달려 있어 청두를 찾는 관광객들의
[인천 섬 특집–프롤로그] 서해의 보물, 인천 섬 여행으로 떠나다 부제 : 서해의 보물섬, 인천으로 떠나는 자연과 역사의 여행 인천 섬 특집① 모래와 바람이 머무는 곳, 덕적도 부제 : 자연의 품에서 느끼는 평화와 자유 인천 섬 특집② 서해 최북단, 바람과 시간의 섬 – 백령도 부제 : 신비한 풍경과 역사의 숨결이 깃든 곳 인천 섬 특집③ 도심에서 가까운 바다, 무의도에서 느끼는 휴식 부제 : 도심 속 오아시스, 자연과 만나는 순간 인천 섬 특집④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섬, 교동도 부제 : 역사가 전하는 오래된 이야기의 향기 인천 섬 특집⑤ 갯벌과 전통 어촌이 살아있는 섬, 자월도 부제 : 자연과 함께하는 전통의 시간 인천 섬 특집⑥ 해양 레저와 풍광이 조화를 이루는 섬, 영흥도 부제 : 모험과 아름다움의 만남, 활기찬 섬 여행 인천 섬 특집⑦ 힐링과 자연 산책, 장봉도에서 만나는 서해의 여유 부제 : 잔잔한 바다와 함께하는 마음 치유의 시간 인천 섬 특집⑧ 작은 섬, 큰 자연의 매력 – 소청도 부제 : 작은 땅에 담긴 무한한 자연의 이야기 인천 섬 특집⑨ 덕적도 부속 섬 – 작은 섬이 전하는 특별한 서해의 경험 부제 : 섬 속 작은 세계, 특별한 인
[인천 섬 특집–프롤로그] 서해의 보물, 인천 섬 여행으로 떠나다 부제 : 서해의 보물섬, 인천으로 떠나는 자연과 역사의 여행 인천 섬 특집① 모래와 바람이 머무는 곳, 덕적도 부제 : 자연의 품에서 느끼는 평화와 자유 인천 섬 특집② 서해 최북단, 바람과 시간의 섬 – 백령도 부제 : 신비한 풍경과 역사의 숨결이 깃든 곳 인천 섬 특집③ 도심에서 가까운 바다, 무의도에서 느끼는 휴식 부제 : 도심 속 오아시스, 자연과 만나는 순간 인천 섬 특집④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섬, 교동도 부제 : 역사가 전하는 오래된 이야기의 향기 인천 섬 특집⑤ 갯벌과 전통 어촌이 살아있는 섬, 자월도 부제 : 자연과 함께하는 전통의 시간 인천 섬 특집⑥ 해양 레저와 풍광이 조화를 이루는 섬, 영흥도 부제 : 모험과 아름다움의 만남, 활기찬 섬 여행 인천 섬 특집⑦ 힐링과 자연 산책, 장봉도에서 만나는 서해의 여유 부제 : 잔잔한 바다와 함께하는 마음 치유의 시간 인천 섬 특집⑧ 작은 섬, 큰 자연의 매력 – 소청도 부제 : 작은 땅에 담긴 무한한 자연의 이야기 인천 섬 특집⑨ 덕적도 부속 섬 – 작은 섬이 전하는 특별한 서해의 경험 부제 : 섬 속 작은 세계, 특별한 인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양안(兩岸) 중추절 등불축제가 지난달 29일 장쑤성 쿤산에서 개막했다. 개막식에는 현지 관료와 지역 대표들이 참석해 점등식을 진행했으며, 축제는 10월 말까지 이어진다. 올해 축제는 ‘화개병제, 등영양안(花开并蒂, 灯映两岸)’을 주제로, 첨단 조명 기술을 활용해 쿤산과 대만 간 산업 협력 및 금융 혁신 성과를 조명한다. 문화·관광·경제 교류 확대도 주요 목표다. 행사는 후이쥐 광장과 저우좡 고진에서 열리며, 드론 쇼와 로봇 공연, 테마별 등불 장식 등 전통과 현대 기술이 융합된 콘텐츠가 마련됐다. 후이쥐 광장은 양안 교류의 중심지로, 대만 기업과의 협력으로 공동 개발된 공간이다. 축제 기간 중에는 등불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 전시, 양안 문화예술 공연, 민속문화의 날 등 다양한 교류 행사가 진행된다. 최근에는 곤곡 예술 소장품 전시회, 파스텔 작가 초청전 등도 열렸다. 쿤산은 중국 내 대만 투자 중심지로, 약 10만 명의 대만인이 거주·근무 중이다. 2025년 8월 기준, 대만 투자 프로젝트는 6,188건, 누적 투자액은 708억 달러를 넘어섰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중국 관광시장이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대규모 소비 지원과 무비자 확대 정책, 그리고 온라인 여행사(OTA)의 활발한 예약 증가가 맞물리며 해외여행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것이다. 중국문화여유부는 지난달 25일 쓰촨성 청두에서 ‘국경절 문화관광 소비의 달’ 행사를 열고, 10월까지 2만9천여 건의 문화·관광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총 4억8천만 위안(약 9천억 원)의 소비 보조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중국 국가이민관리국에 따르면 올해 1~8월 누적 출입국자는 4억6천만 명으로 전년 대비 14.9% 증가했다. 특히 외국인 입국자는 5천126만 명으로 27.8% 늘었으며, 무비자 입국자만 1천589만 명으로 전년 대비 52.1% 급증했다. 국경절과 중추절이 겹친 황금연휴를 앞두고 주요 OTA들은 해외여행 수요 급증을 전했다. 씨트립은 일본, 태국,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순으로 인기 목적지를 발표했으며, 해외 호텔 검색량은 전년 대비 40% 증가했다. 취날은 한국을 포함한 동남아 단기 복합 관광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통청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과 제주도 항공권 검색량은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대만의 해외여행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일본과 한국 등 아시아 주요국이 여전히 최선호 목적지로 자리잡고 있다. 유럽 노선 확대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어 향후 시장 다변화가 기대된다. 대만 교통부 관광국에 따르면 2025년 9월 대만의 해외 출국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뚜렷한 증가세를 기록했다. 일본은 1위 목적지로 확고한 인기를 유지했으며, 한국·홍콩·마카오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한국은 서울과 부산을 중심으로 항공권 검색과 예약률이 상승세를 보이며 꾸준한 선호도를 이어가고 있다. 항공사들은 수요 증가에 맞춰 노선 다변화에 나섰다. 중국항공과 에바항공은 일본·한국 노선을 증편하는 한편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주요 도시 직항 노선도 확대했다. 저비용항공사(LCC)는 동남아 단거리 노선 강화를 통해 젊은층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여행업계에 따르면 대만 관광객들은 짧은 연휴에는 일본·한국, 장기 휴가에는 유럽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에는 한·일 연계 관광이나 동남아 복합상품 등 다국적 여행 코스와 맞춤형 자유여행(FIT) 수요도 증가 추세다. 전문가들은 대만의 해외관광 수요가 단기적으로는 아시아 중심에 집중되겠지만, 중장기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