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뉴스트래블) 변준성 기자 = 지난 1801년 흑산도에서 홍어를 사서 돌아오던 중 태풍을 만나 조선 역사상 가장 긴 표류 여정을 남긴 인물인 신안 우이도 출신 문순득(1777~1847). 그의 놀라운 생애를 기리는 ‘2025 신안국제문페스타’가 오는 19일부터 22일까지 전남 신안군 우이도, 도초도, 흑산도에서 개최된다. 극단 갯돌과 세계마당아트진흥회가 주관하는 이 행사는 섬과 바다, 사람과 예술을 잇는 섬 문화 축제로, 섬을 사랑하는 여행자들이 직접 참여해 섬을 배우고 이동하며 경험하는 ‘섬 로드스꼴라’ 프로그램이다. ‘로드스꼴라(Road Scholar)’는 ‘놀면서 배우는 길 위의 학교’라는 의미로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각국의 특성에 맞게 운영되며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문페스타’의 로드스꼴라에 사전 신청한 여행자들은 3박 4일 동안 우이도, 도초도, 흑산도를 차례로 탐방하며 각 섬의 역사·생태·문화를 배우고 지역민과 교감하는 시간을 갖는다. 여행자들에게 길동무가 돼줄 전문가들도 주목할 만하다. 이윤선 서해안포럼 이사장, 이재근 신안군 학예사, 이영일 흑산도 자산어보 마을학교 교장이 동행해 섬의 역사, 민속, 문화, 생태 등 다양한 해
(제주=뉴스트래블) 변준성 기자 =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가 오는 16일, 일본 도쿄 힐튼호텔에서‘ 2025년 도쿄 제주관광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는 제주-나리타 직항노선 복항 1년을 맞아 일본 수도권 관광객 유치에 본격 나서는 것이다. 제주와 도쿄를 잇는 항공편은 부산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지난 1985년 첫 개설됐으나, 2020년 초 코로나19 여파로 중단됐다. 이후 4년 6개월 만인 2024년 7월 복항해 현재 주 3회(수‧금‧일) 운항 중이다. 이번 설명회는 직항노선의 안정적 운항과 일본 수도권 시장을 중심으로 한 관광 수요 회복을 견인하고, 양국 관광업계간 교류와 협력 기반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행사는 제주관광협회와 도내 여행사·숙박업체 등 12개 관광업체가 참가하며, 일본 측에서는 24개 대형 여행사 및 랜드사, 9개 항공사, 3개 크루즈 선사 및 요미우리신문 등 주요 언론 12개사가 참석한다. 특히 기업 간(B2B) 상담회에서는 일본 여행사 19개사와 크루즈 선사 1개사가 참여해, 제주와 일본 관광업계 간 1대 1 비즈니스 상담을 통해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고 상품 판매 연계 방안을 모색한다. 행사는 또 일본 MZ세대로 구성된 제주관광 서포
(수원= 뉴스트래블) 변준성 기자 = '밤빛 품은 성곽도시, 2025 수원 국가유산 야행(夜行)'이 오는 13∼15일 용연과 수원천, 행궁동과 연무동 일원에서 열린다. 수원 국가유산 야행은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과 주변 문화시설을 거닐며 밤에 즐기는 축제다. 수원시 주최, 수원문화재단 주관, 국가유산청이 후원한다. '8야(夜)'를 주제로 한 올해 야행은 13일 저녁 용연 행사장에서 열리는 점등식으로 시작해 야간 전시, 공연 체험 등 문화유산을 활용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8야(夜)는 야경(夜景·밤에 비춰보는 문화유산), 야로(夜路·밤에 걷는 거리), 야사(夜史·밤에 듣는 역사 이야기), 야화(夜畵·밤에 보는 그림), 야설(夜說·밤에 감상하는 공연), 야시(夜市·지역 상권 연계 시장 운영), 야식(夜食·밤에 즐기는 음식), 야숙(夜宿·수원에서의 하룻밤)이다. 야경은 문화 유산·시설을 야간에 개방하는 것이다. 화성행궁, 수원시립미술관, 수원화성박물관, 수원무형유산전수회관, 화홍사랑채 등을 연장 운영한다. 야로는 수원화성 밤마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환경보호 플로깅(걸으며 쓰레기 줍기) 프로그램인 '쓰담쓰담 수원화성', 수원화성 야경을 감상하며 해설사
[뉴스트래블=권태민 기자] 호주 관광산업협의회(ATIC)가 주관하는 ‘2025 호주 최고 관광도시상(Australia's Top Tourism Town Awards)’에서 서호주(WA)의 프리맨틀(Fremantle)이 최고 관광도시(Top Tourism Town) 부문 금상을 수상했다. 프리맨틀은 역사적 건축물과 항구도시 특유의 문화적 매력을 바탕으로 관광객에게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 스몰 관광도시(Small Tourism Town) 부문에서는 캔버라 인근의 벙겐도어(Bungendore)가 금상을 차지했다. 벙겐도어는 예술과 공예 중심의 지역 문화와 함께 가족 단위 여행객에게 적합한 관광 인프라를 갖춘 점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초소형 관광도시(Tiny Tourism Town) 부문에서는 빅토리아주의 트렌섬(Trentham)이 금상을 수상했다. 트렌섬은 자연 친화적 관광자원과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관광 운영 방식으로 차별화된 여행 경험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한편, ‘호주 최고 투어 가이드(Top Tour Guide)’ 부문에서는 태즈메이니아의 Inala Nature Tours 소속 캣 데이비슨(Cat Davidson)이
[뉴스트래블=차우선 기자] 고물가에 지친 여행자들이 서유럽 대신 가성비 좋은 동유럽으로 눈을 돌리면서, 크로아티아가 유럽 여행지 만족도 조사에서 최상위권에 올랐다. 특히 4년 연속 1위였던 스위스가 밀려나면서 유럽 여행 지형도에 큰 변화가 감지된다.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2025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 결과, 크로아티아는 781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종합 5위에 진입했다. 이는 스페인(808점, 1위), 포르투갈(793점), 체코(791점), 스위스(789점)에 이은 순위다. 동유럽 국가 중에서는 체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최상위 국가로 등극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이번 순위 변화의 주된 이유로 여행 만족도를 결정하는 기준의 변화를 꼽았다. 호텔 가격과 물가가 비싼 유명 명소에서 '인증샷'을 찍는 여행보다는, 독특한 경험과 실속 있는 일정을 추구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는 분석이다. 고물가에 시달리는 서유럽 국가들이 순위 하락세를 보인 반면, 동유럽 국가들은 가성비 높은 여행지로 급부상했다. 크로아티아는 유로화 전환(2023년) 이후 물가가 다소 올랐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유럽 주요 국가들에 비해 숙박비와 식비가
[뉴스트래블=박주성 기자] 2025년 8월 전 세계 항공여객 수송량이 팬데믹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국제선 중심의 이동 증가가 뚜렷해지면서 항공산업 전반의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발표한 ‘2025년 8월 항공여객 시장 분석’에 따르면, 세계 항공여객 수송량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8,960억 유상여객킬로미터(RPK)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로는 4.1% 증가했으며, 항공기 탑승률은 86.0%로 8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국제선 수송량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늘어 전체 증가의 87%를 차지했다. 국제선 탑승률도 85.8%로 소폭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아프리카(8.9%)와 중동(8.4%)이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고,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7.5%), 아시아·태평양(6.1%), 유럽(4.2%) 순으로 뒤를 이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일본, 한국, 동남아 등 주요 노선의 국제선 수요가 늘어나며 전체 성장세를 견인했다. 유럽은 여름철 여행수요가 유지되며 안정적인 회복 흐름을 이어갔지만, 북미는 미국 국내선 수요 둔화로 성장률이 0.5%에 그쳤다. IATA는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9월 방한 외래관광객 수가 170만 명을 돌파하며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관광공사가 31일 발표한 '2025년 9월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9월 방한객은 총 1,702,813명으로, 전년 동월(1,464,300명) 대비 1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9월의 116.7% 수준을 회복한 수치다. 9월 한 달간 가장 많은 방한객을 기록한 시장은 중국으로, 50.3만 명을 기록했다. 이어 일본(37.1만 명), 대만(15.5만 명), 미국(12.2만 명), 필리핀(4.8만 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일본 시장은 2019년 동월 대비 147.6% 수준으로, 대만은 150.8%, 미국은 134.0%, 필리핀은 131.4% 수준으로 이미 코로나 이전 실적을 크게 상회하며 회복세를 이끌었다. 중국 시장은 2019년 동월 대비 93.0% 수준을 회복했다. 아중동 시장은 2019년 동월 대비 116.9%를, 구미주 시장은 127.1%를 회복한 것으로 집계됐다. 누적 실적도 호조를 보였다.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의 누적 방한객은 1,408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0% 증가했으며, 20
[뉴스트래블=손현미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3일 통영 금호마리나리조트에서 ‘2025 대한민국 야간관광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소도시의 밤을 밝히다, 야간관광이 여는 지역발전의 새로운 빛’을 주제로, 전국 야간관광 특화도시 10곳의 성과 공유와 지속가능한 관광 활성화 방안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지자체 관계자와 업계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일본 슈큐도쿠대 치바치에코 교수는 일본 소도시의 야간경제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 엄상용 박사와 정란수 대표가 각각 소상공인 중심의 콘텐츠 개발 전략과 지속가능한 야간관광 생태계 조성 과제를 발표했다. 한편, 제1호 야간관광 특화도시인 통영시는 이날 야간관광명예도시 선포식을 열고, 강구안 일대 야간 경관조성 및 해상무대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소개했다.
[뉴스트래블=정국환 기자] 아침 햇살이 동해를 붉게 물들이면 속초의 하루가 시작된다. 갓 잡은 오징어를 손질하는 어부의 손끝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달리는 자동차 창밖에서, 바다의 기운이 그대로 느껴진다. 그 순간, 태평양 건너 시드니의 바다도 함께 반짝이는 듯하다. 두 도시는 바다와 도시가 맞닿은, ‘자유’라는 공통의 언어로 이어져 있다. 속초는 조용하지만 생동감 있다. 해안의 파도는 단조롭지 않다. 때로는 부드럽게, 때로는 강하게 부서진다. 그 변화무쌍한 리듬 속에서 여행자는 묘한 해방감을 느낀다. 마치 시드니의 본다이 해변에서 서퍼들이 파도에 몸을 맡길 때처럼, 속초의 바다는 일상의 경계를 지운다. 바다가 도시를 품다 속초의 중심은 언제나 바다다. 해돋이 명소인 영금정에서 바라보는 일출은, 자연의 웅장함과 함께 새로운 하루의 가능성을 전한다. 바다를 따라 이어진 해안도로, 그 위를 달리는 차량들의 행렬은 도시가 아닌 ‘바다를 산책하는 길’처럼 느껴진다. 카페 거리에서는 커피 향이 바닷바람과 섞여 도시의 여유를 만든다. 시드니 역시 바다를 품은 도시다. 오페라하우스와 하버브리지가 만든 도시의 실루엣은 세계적인 상징이지만, 그 주변을 감싸는 바다의 곡선이야말
[뉴스트래블=박주연 기자] 일본 오키나와의 포브스 5성 럭셔리 리조트 할레쿨라니 오키나와가 오는 11월 1일부터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시루(SHIROUX)’의 새로운 컨설팅 셰프로 미쉐린 1스타 셰프 켄 사카모토(Ken Sakamoto)를 공식 영입한다. 사카모토 셰프는 교토의 미쉐린 1스타 레스토랑 ‘첸치(Cenci)’의 총괄 셰프로, 2014년 개업 이후 ‘첸치’를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 50’에 올렸으며,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 연속 미쉐린 1스타를 유지하고 있다. 그는 “오키나와의 식재료는 강렬한 개성을 지녔다”며 “오키나와 감귤, 아구 돼지, 신선한 어패류 등 지역 식재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할레쿨라니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미식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현 컨설팅 셰프 히로야스 카와테가 이끄는 시즌 코스는 10월 31일까지 제공되며, 이후 사카모토 셰프의 합류와 함께 ‘시루’는 지역성과 현대미를 조화롭게 담은 새로운 미식 경험을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