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시대의 기억을 품은 문장이다. 어떤 이름은 제국의 흔적을, 또 어떤 이름은 독립의 꿈을 말한다. 시간이 흐르며 도시가 팽창하고, 이름은 그 변화의 기록으로 남는다. 하노이와 자카르타, 두 도시는 식민의 상처를 지나 스스로의 이름을 되찾은 뒤, 새로운 성장의 시대를 써 내려가고 있다. 이제 도시의 확장은 단순한 규모의 팽창이 아니라 정체성의 확장이다. 이름은 더 이상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미래를 향한 비전으로 다시 읽힌다. 여행자가 하노이의 골목을 거닐고 자카르타의 해안을 마주할 때, 그 발걸음은 변화를 증명하는 기록이 된다. 오늘 우리는 ‘확장’이라는 이름을 따라, 두 도시의 길 위에 선다. ◇ 하노이, 기억 위에 쌓은 성장의 이름 홍강(紅江) 유역의 도시 하노이는 천 년의 역사를 품은 베트남의 심장이다. 이름은 ‘강 안쪽의 도시’를 뜻하며, 리 왕조가 수도를 세운 11세기부터 베트남의 정치와 문화의 중심이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프랑스 식민 통치가 시작되면서, 도시의 이름은 제국의 질서 아래 새롭게 불렸다. 거리에는 유럽식 건물과 관청이 들어섰고, 베트남의 전통은 서양식 근대와 겹쳐졌다. 전쟁과 독립, 사회주의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다. 그것은 시대의 이상과 가치, 그리고 인간이 꿈꾸는 미래를 담은 상징이다. 샌프란시스코와 코펜하겐, 두 도시는 서로 다른 대륙에 자리하고 있지만, 기술과 자연, 창조와 지속가능성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인의 상상 속에 살아 있다. 여행자가 그 이름의 기원을 알고 도시를 걷는다면, 금문교의 철골과 니하운의 물결 속에서, 미래와 일상이 교차하는 순간을 마주하게 된다. 샌프란시스코는 서부 개척의 끝에서 혁신의 출발점으로, 코펜하겐은 북유럽의 항구에서 삶의 철학을 품은 도시로 변모했다. 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시대의 이상을 반영한 정체성의 진화다. 오늘 우리는 그 이름의 흔적을 따라, 샌프란시스코와 코펜하겐으로 향한다. 샌프란시스코. /픽사베이 ◇ 샌프란시스코, ‘성 프란체스코’에서 ‘아이디어의 수도’로…창조의 이름을 품다 태평양을 마주한 언덕 위 도시를 바라보면, ‘성 프란체스코’를 기리는 종교적 이름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1776년,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곳에 미션을 세우며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골드러시와 철도 개통, 지진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마닐라 말라떼 중심가에 위치한 ZZYZX 클럽은 도시의 밤을 가장 뜨겁게 끌어올리는 공간이다. 입구부터 강한 베이스가 거리까지 울려 퍼지고, 보코보 거리의 네온 불빛 사이로 줄지어 들어서는 사람들로 주변은 이미 축제 분위기다. 클럽 내부는 중앙에 넓은 댄스 플로어가 자리하고 있으며, 양쪽 벽면에는 테이블과 소파가 배치되어 있다. 2층 VIP 라운지는 유리 난간 너머로 아래층을 내려다볼 수 있어, 고요한 시선 속에서도 리듬은 멈추지 않는다. DJ 부스는 무대 정면에 위치해 있으며, 곡이 바뀔 때마다 조명이 박자에 맞춰 색을 바꾸고, 천장에서는 스트로브 라이트가 터지듯 반짝인다. 사람들은 테이블 주변에서 음료를 들고 리듬에 몸을 맡기거나, 플로어 중앙에서 서로 어깨를 부딪치며 춤을 춘다. 음악은 EDM과 팝, K-pop이 믹스되어 끊임없이 흐르고, 간간이 현지 인기곡이 섞이며 분위기를 전환시킨다. 공간은 혼잡하지만 흐름은 매끄럽고, 보안 요원들이 출입구와 주요 동선에 배치되어 있어 질서가 유지된다. 마닐라 말라떼의 심장, ZZYZX 클럽에서 펼쳐지는 새벽의 열기. 이곳에선 밤이 멈추지 않는다.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다. 그것은 시대의 정체성과 권력, 문화의 흐름을 담은 상징이다. 서울과 런던, 두 도시는 서로 다른 대륙에 자리하고 있지만,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이름으로 살아남았다. 여행자가 그 이름의 기원을 알고 도시를 걷는다면, 고궁의 돌계단과 템스강의 물결 속에서,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순간을 체험하게 된다. 서울은 왕조의 도읍에서 세계적 메트로폴리스로, 런던은 제국의 심장에서 글로벌 문화의 중심지로 변모했다. 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표식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정체성의 진화다. 오늘 우리는 그 이름의 흔적을 따라, 서울과 런던으로 향한다. ◇ 서울, ‘한성’에서 ‘서울’로…민족의 이름을 되찾다북악산 아래 펼쳐진 도심을 바라보면, 이곳이 한때 ‘한성(漢城)’이라 불리던 조선의 수도였다는 사실을 떠올리기란 쉽지 않다. 1394년, 태조 이성계는 이곳을 조선의 도읍으로 삼고 경복궁을 세웠다. 이후 500년 넘게 왕조의 중심지였던 한성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경성(京城)’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외세의 언어로 불린 이름은, 민족의 정체성을 지우려는 시도의 상징이었다. 해방 이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해외여행 목적지가 지난 20년간 아시아 중심에서 유럽과 중동으로 확장됐다. 2004년부터 2025년까지의 '국민 해외관광객 주요 목적지별 통계'(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일본과 중국이 절대 강세를 보이던 초기 흐름은 팬데믹과 국제정세 변화를 거치며 다변화됐다. 2004년 기준 한국인 출국자 수는 약 1000만 명으로, 일본·중국·미국이 3대 인기 목적지였다. 당시 일본은 전체의 약 35%, 중국은 28%를 차지하며 절반 이상을 점유했다. 반면 유럽과 중동은 전체의 10% 미만에 머물렀다. 2010년대 들어 저가항공(LCC)의 확산과 환율 안정으로 동남아 시장이 급성장했다. 2015년에는 태국, 베트남, 필리핀이 모두 Top10에 진입했고, 일본과 중국 비중은 각각 25%·20%대로 하락했다. 같은 시기 유럽은 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체 출국자 수는 2019년 2870만 명에서 2020년 420만 명으로 급감했다(한국관광공사). 이 시기를 기점으로 여행 행태는 ‘가까운 곳에서 안전하게’로 바뀌었으며, 팬데믹 이후엔 ‘새로운 지역 탐색’으로 이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다. 한 나라의 권력, 제국의 이념, 그리고 문명의 중심이었던 시절의 기억을 품고 있다. 베이징과 뉴델리 - 이 두 도시는 ‘제국’이라는 단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수세기 동안 왕조의 권위와 식민의 흔적, 그리고 독립의 열망을 동시에 품은 도시들이다. ‘베이징(北京)’은 문자 그대로 ‘북쪽의 수도’를 뜻하지만, 그 이름이 지닌 무게는 단순한 방향보다 훨씬 크다. 중국 왕조의 중심이자, 국가 권력의 상징으로서 베이징은 시대가 바뀔 때마다 이름의 의미를 다시 써 내려갔다. 반면 ‘뉴델리(New Delhi)’는 제국의 통치를 위해 계획된 도시였지만, 지금은 독립 인도의 심장으로 살아 숨 쉰다. 두 도시는 이름 속에 제국의 흔적을 품고, 오늘의 세계 속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있다. ◇ 베이징, 제국의 중심에서 국민의 수도로 ‘베이징(北京)’이라는 이름은 원나라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북쪽의 수도’라는 단순한 지리적 의미였지만, 실상은 제국 권력의 방향을 상징하는 이름이었다. 명과 청 왕조는 베이징을 ‘천자의 도시’로 세웠고, 자금성과 천단, 그리고 장대한 성곽은 그 위용을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한국인의 해외여행 지도가 달라지고 있다. 파리·로마·런던 같은 유럽 도시들이 오랫동안 ‘로망 여행지’로 꼽혀왔지만, 최근에는 두바이·도하·이스탄불 등 중동 도시들이 빠른 속도로 부상하며 새로운 목적지로 자리 잡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2025년 8월 국민 해외관광객 주요 목적지별 통계'에 따르면, 유럽 주요국 방문객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5%대의 완만한 증가에 그친 반면, 두바이(UAE)와 카타르의 한국인 방문객은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동의 부상과 여행자의 선택중동의 약진은 단순한 계절적 변동이 아니라 구조적 변화로 읽힌다. UAE는 2024년 관광 수익이 AED 257.3 billion(약 70억 달러)에 달해 국가 GDP의 약 13%를 차지했다는 보고가 있다(Arabian Business, 2024.9). 같은 해 호텔 부문 수익은 AED 45 billion 수준에 이르렀고, 두바이는 2024년에만 1872만 명의 숙박 방문객을 기록해 전년 대비 약 +9% 늘었다(WAM, 2025.1; Dubai DET, 2025.1). 카타르 역시 2022년 월드컵 이후 관광 인프라 확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늘 과거의 이야기만을 담지 않는다. 어떤 이름은 신화의 전설을 품고, 또 어떤 이름은 정복자의 발자취를 남긴다. 하지만 두바이와 싱가포르의 이름은 다르다. 이 두 도시는 고대의 전설을 계승하기보다는 근대와 현대가 직접 만들어낸 이름을 통해 오늘의 의미를 얻었다. ‘사막의 기적’을 상징하는 두바이와 ‘사자의 도시’에서 글로벌 허브로 변신한 싱가포르는, 이름 그 자체가 곧 현대 문명의 성취와 미래 지향성을 말해준다. 여행자가 이곳의 이름을 들으면 떠올리는 것은 더 이상 지도 속 작은 지명이 아니다. 초고층 빌딩과 인공섬, 세계의 중심을 오가는 항공 네트워크, 그리고 글로벌 금융의 심장 같은 이미지가 함께 따라온다. 두바이와 싱가포르는 도시의 이름을 통해 끊임없이 스스로를 재정의하며, 그 과정을 여행자에게 직접 보여준다. 이름을 따라 걷는 여정은 곧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현재가 미래를 창조하는 현장에 들어서는 경험이 된다. ◆ 두바이, 사막 위에 세운 기적의 이름 두바이(Dubai)라는 이름의 기원은 아랍어 ‘도유브’에서 찾을 수 있다. ‘작은 메뚜기 무리’라는 의미를 가진 이 단어는 원래 작은 어촌의 이름이었지만, 지금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다. 신화와 전설이 도시의 이름을 만들었다면, 근대라는 거대한 물결 속에서 이름은 또 다른 의미를 얻었다. 도쿄와 파리는 바로 그런 근대의 흐름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도시다. 에도에서 도쿄로, 중세의 파리에서 ‘빛의 도시’로. 두 도시는 이름 속에 근대의 변화와 혁신, 그리고 새로운 시대를 향한 자신감과 야망을 담았다. 여행자가 그 거리를 걷는 순간, 이름은 단순한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오늘까지 이어진 근대의 선언으로 다가온다. ◆ 도쿄, ‘동쪽의 수도’로 다시 태어난 도시1868년, 메이지 유신은 일본의 근대화를 알리는 서막이었다. 그 순간 수도의 이름도 바뀌었다. ‘에도’에서 ‘도쿄(東京)’, 곧 ‘동쪽의 수도’라는 이름이 탄생한 것이다. 이름의 변화는 단순한 행정 개편이 아니라, 서구 열강의 시대 속에서 근대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선언이었다. 오늘 여행자가 도쿄를 걸으면, 근대라는 거대한 시계바늘이 멈추지 않고 흐르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신주쿠의 빌딩 숲 사이로 스쳐가는 네온사인, 아사쿠사의 전통 사원과 나란히 놓인 현대 건축, 규칙적인 지하철의 리듬은 모두 ‘도쿄’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여행자가 도시의 이름을 들었을 때 떠올리는 것은 단순한 위치 정보가 아니다. 어떤 이름은 신화와 전설의 무대를 열어주고, 어떤 이름은 인류가 쌓아온 문명의 숨결을 불러낸다. 로마와 카이로는 바로 그런 도시다. 로마라는 이름은 늑대에게 길러진 쌍둥이 형제,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전설로 시작해 제국의 영광으로 이어졌다. ‘영원한 도시(Eternal City)’라는 별칭처럼, 로마는 이름 자체가 하나의 신화다. 반면 카이로라는 이름은 ‘승리’를 의미한다. 969년, 파티마 왕조가 이곳을 건설하며 붙인 이름은 이후 수많은 왕조의 흥망과 저항의 역사를 품어왔다. 여행자가 두 도시를 걷는 순간, 그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라 살아 있는 역사와 이야기가 된다. 로마의 광장과 분수대, 카이로의 나일강과 미나레트가 속삭이는 전설 속으로 들어가는 것 - 그것이 곧 이 도시들이 가진 특별한 여행의 시작이다. ◆ 로마, 늑대가 키운 영원의 도시로마의 시작은 신화 속 형제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로물루스와 레무스, 한 쌍의 쌍둥이가 늑대의 젖을 먹으며 성장했다는 전설은 도시 탄생의 서사를 신화로 끌어올린다. 형 로물루스가 형제를 죽이고 로마를 세웠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