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시대의 기억을 품은 문장이다. 어떤 이름은 제국의 흔적을, 또 어떤 이름은 독립의 꿈을 말한다. 시간이 흐르며 도시가 팽창하고, 이름은 그 변화의 기록으로 남는다. 하노이와 자카르타, 두 도시는 식민의 상처를 지나 스스로의 이름을 되찾은 뒤, 새로운 성장의 시대를 써 내려가고 있다. 이제 도시의 확장은 단순한 규모의 팽창이 아니라 정체성의 확장이다. 이름은 더 이상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미래를 향한 비전으로 다시 읽힌다. 여행자가 하노이의 골목을 거닐고 자카르타의 해안을 마주할 때, 그 발걸음은 변화를 증명하는 기록이 된다. 오늘 우리는 ‘확장’이라는 이름을 따라, 두 도시의 길 위에 선다. ◇ 하노이, 기억 위에 쌓은 성장의 이름 홍강(紅江) 유역의 도시 하노이는 천 년의 역사를 품은 베트남의 심장이다. 이름은 ‘강 안쪽의 도시’를 뜻하며, 리 왕조가 수도를 세운 11세기부터 베트남의 정치와 문화의 중심이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프랑스 식민 통치가 시작되면서, 도시의 이름은 제국의 질서 아래 새롭게 불렸다. 거리에는 유럽식 건물과 관청이 들어섰고, 베트남의 전통은 서양식 근대와 겹쳐졌다. 전쟁과 독립, 사회주의
[뉴스트래블=정국환 기자] 파도 소리로 하루를 여는 도시, 강릉. 해변을 따라 걷다 보면, 여유로운 리듬과 차분한 색감이 북유럽의 한 도시를 닮아 있다. 커피 향이 퍼지는 안목해변 카페거리, 창 너머로 펼쳐지는 잔잔한 동해의 수평선, 그리고 소박한 디자인의 공간들. 강릉은 어느새 북유럽이 가진 ‘단순함의 아름다움’을 닮아가고 있다. 도시의 규모는 작지만, 그 안에는 조용한 여유와 깊은 감성이 있다. 한적한 바닷가와 숲속 도로, 감성적인 카페와 작은 공방이 이어진다. 이곳의 일상은 화려하지 않지만, 삶의 속도를 천천히 되돌려보게 만든다. 마치 핀란드의 헬싱키나 노르웨이의 베르겐처럼, 강릉은 자연과 인간이 조용히 공존하는 도시로 변하고 있다. 바다와 숲, 자연이 만든 감성의 닮은꼴강릉의 가장 큰 매력은 ‘자연의 조화’다. 바다와 숲, 산과 길이 가까이 맞닿아 있다. 안목해변의 푸른 바다를 보고 경포호를 지나면 금강송 숲이 이어진다. 이 풍경은 북유럽의 해안 도시와 닮았다. 한쪽에는 잔잔한 바다, 다른 쪽에는 짙은 숲. 인간의 손보다 자연의 숨결이 먼저 느껴지는 도시다. 북유럽의 해안 도시들도 그렇다. 베르겐은 피오르드와 바다가 맞닿은 항구 도시로, 날씨가 잦은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다. 그것은 시대의 이상과 가치, 그리고 인간이 꿈꾸는 미래를 담은 상징이다. 샌프란시스코와 코펜하겐, 두 도시는 서로 다른 대륙에 자리하고 있지만, 기술과 자연, 창조와 지속가능성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인의 상상 속에 살아 있다. 여행자가 그 이름의 기원을 알고 도시를 걷는다면, 금문교의 철골과 니하운의 물결 속에서, 미래와 일상이 교차하는 순간을 마주하게 된다. 샌프란시스코는 서부 개척의 끝에서 혁신의 출발점으로, 코펜하겐은 북유럽의 항구에서 삶의 철학을 품은 도시로 변모했다. 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시대의 이상을 반영한 정체성의 진화다. 오늘 우리는 그 이름의 흔적을 따라, 샌프란시스코와 코펜하겐으로 향한다. 샌프란시스코. /픽사베이 ◇ 샌프란시스코, ‘성 프란체스코’에서 ‘아이디어의 수도’로…창조의 이름을 품다 태평양을 마주한 언덕 위 도시를 바라보면, ‘성 프란체스코’를 기리는 종교적 이름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1776년,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곳에 미션을 세우며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골드러시와 철도 개통, 지진
[뉴스트래블=정국환 기자] 제주의 성산 일출봉에 올라 붉게 물드는 동쪽 하늘을 마주하면 숨이 멎는다. 끝없이 펼쳐진 바다와 오름이 만들어낸 풍경은 하와이의 화산 섬을 떠올리게 한다. 검은 현무암 해안과 파도 소리는 하와이 해변의 열기와 묘하게 닮았다. 산책로를 따라 오름과 해안 절벽을 거닐다 보면, 자연 속에서 사진과 기록으로 이어지는 여행의 순간을 만난다. 제주의 섬은 크지 않지만, 그 안에 담긴 자연 풍광과 지형적 다양성은 하와이 못지않게 눈길을 사로잡는다. 해안도로를 따라 드라이브하면 바다와 숲, 돌담과 현무암 해안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마치 영화 속 장면을 걷는 듯한 기분이다. 여름철 해변에서는 서핑을 즐기거나 모래 위를 걸으며 파도의 리듬을 느낄 수 있다. 하와이는 세계적 서핑 명소로 활기차고 다양한 액티비티가 중심이지만, 제주는 한적함 속에서 자신만의 속도로 자연과 친해지는 경험이 가능하다. 초보 서퍼나 가족 단위 여행객에게 특히 적합하다. 화산과 바다, 액티비티에서 느끼는 공통점과 차이점두 섬은 모두 화산과 바다를 핵심 매력으로 가진다. 성산 일출봉과 검은 현무암 해안, 하와이의 화산과 열대 해변은 시각적 매력이 비슷하다. 하지만 여행자가 체험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다. 그것은 시대의 정체성과 권력, 문화의 흐름을 담은 상징이다. 서울과 런던, 두 도시는 서로 다른 대륙에 자리하고 있지만,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이름으로 살아남았다. 여행자가 그 이름의 기원을 알고 도시를 걷는다면, 고궁의 돌계단과 템스강의 물결 속에서,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순간을 체험하게 된다. 서울은 왕조의 도읍에서 세계적 메트로폴리스로, 런던은 제국의 심장에서 글로벌 문화의 중심지로 변모했다. 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표식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정체성의 진화다. 오늘 우리는 그 이름의 흔적을 따라, 서울과 런던으로 향한다. ◇ 서울, ‘한성’에서 ‘서울’로…민족의 이름을 되찾다북악산 아래 펼쳐진 도심을 바라보면, 이곳이 한때 ‘한성(漢城)’이라 불리던 조선의 수도였다는 사실을 떠올리기란 쉽지 않다. 1394년, 태조 이성계는 이곳을 조선의 도읍으로 삼고 경복궁을 세웠다. 이후 500년 넘게 왕조의 중심지였던 한성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경성(京城)’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외세의 언어로 불린 이름은, 민족의 정체성을 지우려는 시도의 상징이었다. 해방 이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다. 한 나라의 권력, 제국의 이념, 그리고 문명의 중심이었던 시절의 기억을 품고 있다. 베이징과 뉴델리 - 이 두 도시는 ‘제국’이라는 단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수세기 동안 왕조의 권위와 식민의 흔적, 그리고 독립의 열망을 동시에 품은 도시들이다. ‘베이징(北京)’은 문자 그대로 ‘북쪽의 수도’를 뜻하지만, 그 이름이 지닌 무게는 단순한 방향보다 훨씬 크다. 중국 왕조의 중심이자, 국가 권력의 상징으로서 베이징은 시대가 바뀔 때마다 이름의 의미를 다시 써 내려갔다. 반면 ‘뉴델리(New Delhi)’는 제국의 통치를 위해 계획된 도시였지만, 지금은 독립 인도의 심장으로 살아 숨 쉰다. 두 도시는 이름 속에 제국의 흔적을 품고, 오늘의 세계 속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있다. ◇ 베이징, 제국의 중심에서 국민의 수도로 ‘베이징(北京)’이라는 이름은 원나라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북쪽의 수도’라는 단순한 지리적 의미였지만, 실상은 제국 권력의 방향을 상징하는 이름이었다. 명과 청 왕조는 베이징을 ‘천자의 도시’로 세웠고, 자금성과 천단, 그리고 장대한 성곽은 그 위용을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늘 과거의 이야기만을 담지 않는다. 어떤 이름은 신화의 전설을 품고, 또 어떤 이름은 정복자의 발자취를 남긴다. 하지만 두바이와 싱가포르의 이름은 다르다. 이 두 도시는 고대의 전설을 계승하기보다는 근대와 현대가 직접 만들어낸 이름을 통해 오늘의 의미를 얻었다. ‘사막의 기적’을 상징하는 두바이와 ‘사자의 도시’에서 글로벌 허브로 변신한 싱가포르는, 이름 그 자체가 곧 현대 문명의 성취와 미래 지향성을 말해준다. 여행자가 이곳의 이름을 들으면 떠올리는 것은 더 이상 지도 속 작은 지명이 아니다. 초고층 빌딩과 인공섬, 세계의 중심을 오가는 항공 네트워크, 그리고 글로벌 금융의 심장 같은 이미지가 함께 따라온다. 두바이와 싱가포르는 도시의 이름을 통해 끊임없이 스스로를 재정의하며, 그 과정을 여행자에게 직접 보여준다. 이름을 따라 걷는 여정은 곧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현재가 미래를 창조하는 현장에 들어서는 경험이 된다. ◆ 두바이, 사막 위에 세운 기적의 이름 두바이(Dubai)라는 이름의 기원은 아랍어 ‘도유브’에서 찾을 수 있다. ‘작은 메뚜기 무리’라는 의미를 가진 이 단어는 원래 작은 어촌의 이름이었지만, 지금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다. 신화와 전설이 도시의 이름을 만들었다면, 근대라는 거대한 물결 속에서 이름은 또 다른 의미를 얻었다. 도쿄와 파리는 바로 그런 근대의 흐름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도시다. 에도에서 도쿄로, 중세의 파리에서 ‘빛의 도시’로. 두 도시는 이름 속에 근대의 변화와 혁신, 그리고 새로운 시대를 향한 자신감과 야망을 담았다. 여행자가 그 거리를 걷는 순간, 이름은 단순한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오늘까지 이어진 근대의 선언으로 다가온다. ◆ 도쿄, ‘동쪽의 수도’로 다시 태어난 도시1868년, 메이지 유신은 일본의 근대화를 알리는 서막이었다. 그 순간 수도의 이름도 바뀌었다. ‘에도’에서 ‘도쿄(東京)’, 곧 ‘동쪽의 수도’라는 이름이 탄생한 것이다. 이름의 변화는 단순한 행정 개편이 아니라, 서구 열강의 시대 속에서 근대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선언이었다. 오늘 여행자가 도쿄를 걸으면, 근대라는 거대한 시계바늘이 멈추지 않고 흐르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신주쿠의 빌딩 숲 사이로 스쳐가는 네온사인, 아사쿠사의 전통 사원과 나란히 놓인 현대 건축, 규칙적인 지하철의 리듬은 모두 ‘도쿄’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여행자가 도시의 이름을 들었을 때 떠올리는 것은 단순한 위치 정보가 아니다. 어떤 이름은 신화와 전설의 무대를 열어주고, 어떤 이름은 인류가 쌓아온 문명의 숨결을 불러낸다. 로마와 카이로는 바로 그런 도시다. 로마라는 이름은 늑대에게 길러진 쌍둥이 형제,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전설로 시작해 제국의 영광으로 이어졌다. ‘영원한 도시(Eternal City)’라는 별칭처럼, 로마는 이름 자체가 하나의 신화다. 반면 카이로라는 이름은 ‘승리’를 의미한다. 969년, 파티마 왕조가 이곳을 건설하며 붙인 이름은 이후 수많은 왕조의 흥망과 저항의 역사를 품어왔다. 여행자가 두 도시를 걷는 순간, 그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라 살아 있는 역사와 이야기가 된다. 로마의 광장과 분수대, 카이로의 나일강과 미나레트가 속삭이는 전설 속으로 들어가는 것 - 그것이 곧 이 도시들이 가진 특별한 여행의 시작이다. ◆ 로마, 늑대가 키운 영원의 도시로마의 시작은 신화 속 형제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로물루스와 레무스, 한 쌍의 쌍둥이가 늑대의 젖을 먹으며 성장했다는 전설은 도시 탄생의 서사를 신화로 끌어올린다. 형 로물루스가 형제를 죽이고 로마를 세웠다는
[인천 섬 특집–프롤로그] 서해의 보물, 인천 섬 여행으로 떠나다 부제 : 서해의 보물섬, 인천으로 떠나는 자연과 역사의 여행 인천 섬 특집① 모래와 바람이 머무는 곳, 덕적도 부제 : 자연의 품에서 느끼는 평화와 자유 인천 섬 특집② 서해 최북단, 바람과 시간의 섬 – 백령도 부제 : 신비한 풍경과 역사의 숨결이 깃든 곳 인천 섬 특집③ 도심에서 가까운 바다, 무의도에서 느끼는 휴식 부제 : 도심 속 오아시스, 자연과 만나는 순간 인천 섬 특집④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섬, 교동도 부제 : 역사가 전하는 오래된 이야기의 향기 인천 섬 특집⑤ 갯벌과 전통 어촌이 살아있는 섬, 자월도 부제 : 자연과 함께하는 전통의 시간 인천 섬 특집⑥ 해양 레저와 풍광이 조화를 이루는 섬, 영흥도 부제 : 모험과 아름다움의 만남, 활기찬 섬 여행 인천 섬 특집⑦ 힐링과 자연 산책, 장봉도에서 만나는 서해의 여유 부제 : 잔잔한 바다와 함께하는 마음 치유의 시간 인천 섬 특집⑧ 작은 섬, 큰 자연의 매력 – 소청도 부제 : 작은 땅에 담긴 무한한 자연의 이야기 인천 섬 특집⑨ 덕적도 부속 섬 – 작은 섬이 전하는 특별한 서해의 경험 부제 : 섬 속 작은 세계, 특별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