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뉴스트래블) 정국환 기자 = 도톤보리강은 일본 오사카의 대표 관광지다. 이 강을 따라 유람하는 크루즈는 여행객들에게 낭만을 선물한다. 약 20분간 9개의 다리를 지나며, 글리코상, 이치란 라멘, 돈키호테 등 명소를 스쳐지나간다. 강 주변에 펼쳐진 수많은 음식점과 쇼핑센타는 여행객들을 불러들여 순식간에 이 지역을 인산인해로 만든다. 날씨가 좋은면 좋은대로, 흐리면 흐린대로 그리고 비가 오면 비가 오는 대로 운치와 낭만을 더한다. 도톤보리 강투어는 리버크루즈와 원더크루즈를 이용하면 된다. 승선 위치만 다를 뿐 투어로 맛과 묘미는 비슷하다. 도톤보리에서의 낭만이 깃든 추억을 남기기엔 크루즈만한 것이 없다.
[뉴스트래블=박주성 기자] 프랑스의 어느 작은 마을 비스트로. 버터 향이 가득한 주방에서 요리사가 집게로 무언가를 꺼낸다. 빛나는 은빛 껍데기 속에 들어 있는 건, 다름 아닌 ‘달팽이’다. 우리에겐 정원이나 풀밭의 느린 생물로만 보이지만, 프랑스 사람들에게 에스카르고(Escargot)는 미식의 상징이다. 버터, 마늘, 파슬리가 만나 완성되는 그 한입은 의외로 부드럽고 고소하다. 처음엔 망설이다가도, 한 번 맛본 사람은 말한다. “이건 바다의 조개도, 육지의 고기도 아닌 제3의 풍미다.” 느림을 미식으로 승화시킨 프랑스의 지혜, 달팽이는 그 증거다. 에스카르고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됐다. 고대 로마 시절부터 이미 귀족들 사이에서는 달팽이를 ‘육상 조개’라 부르며 별미로 즐겼다. 로마의 식탁에서 시작된 이 습관은 중세 프랑스를 거쳐 현대까지 이어진다. 특히 부르고뉴(Bourgogne) 지역은 지금도 ‘에스카르고의 본고장’으로 불린다. 이 지역의 프랑스인들은 달팽이를 단순한 식재료가 아닌 문화로 여긴다. 조리 과정은 의외로 정교하다. 달팽이를 깨끗이 손질한 뒤, 버터에 다진 마늘과 파슬리, 소금, 그리고 약간의 화이트와인을 넣어 만든 ‘에스카르고 버터’를 채운다.
(대련=뉴스트래블) 박성은 기자 = 대련문원국제여행사가 24일 중국 대련의 여름 인기 관광지와 맞춤형 체험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첫 번째 대련의 추천 관광지는 진스탄 콰이러 해수욕장(大连金石滩欢乐海岸)이다. 이 해수욕장은 투명하고 고운 모래사장으로 유명하다. 이 곳은 수영, 일광욕, 모래놀이 등 여름철 해양 액티비티의 최적지라 할 수 있다. 다음은 발현왕국 놀이공원(大连海昌发现王国主题公园)이다. 더위를 잊을 수 있는 시원한 후룸라이드를 비롯한 짜릿한 어트랙션이 더위를 잊게 만들어 줄 것이다. 이 곳은 가족·단체 고객에게 인기 있는 테마파크다. 그 다음은 생명의 신비 박물관大连金石滩生命奥秘博物馆이다. 인체의 신비를 주제로 한 체험형 전시관이다. 어린이와 함께할 수 있는 최적의 교육 공간이다. 성아해양세계 아쿠아리움(大连圣亚海洋世界) 또한 잊지말아야 할 여행지다. 이 곳에서는 실내 해양생물을 관람할 수 있고 다양한 공연도 즐길 수 있다. 1999년에 설립된 대련문원국제여행사는 중국 대련의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전문 여행사다. 고객 맞춤형 퍼스널 여행 상품을 개발하며, 관광·통역·가이드·비자·숙박·차량·항공권 등 여행 전반에 걸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시대의 기억을 품은 문장이다. 어떤 이름은 제국의 흔적을, 또 어떤 이름은 독립의 꿈을 말한다. 시간이 흐르며 도시가 팽창하고, 이름은 그 변화의 기록으로 남는다. 하노이와 자카르타, 두 도시는 식민의 상처를 지나 스스로의 이름을 되찾은 뒤, 새로운 성장의 시대를 써 내려가고 있다. 이제 도시의 확장은 단순한 규모의 팽창이 아니라 정체성의 확장이다. 이름은 더 이상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미래를 향한 비전으로 다시 읽힌다. 여행자가 하노이의 골목을 거닐고 자카르타의 해안을 마주할 때, 그 발걸음은 변화를 증명하는 기록이 된다. 오늘 우리는 ‘확장’이라는 이름을 따라, 두 도시의 길 위에 선다. ◇ 하노이, 기억 위에 쌓은 성장의 이름 홍강(紅江) 유역의 도시 하노이는 천 년의 역사를 품은 베트남의 심장이다. 이름은 ‘강 안쪽의 도시’를 뜻하며, 리 왕조가 수도를 세운 11세기부터 베트남의 정치와 문화의 중심이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프랑스 식민 통치가 시작되면서, 도시의 이름은 제국의 질서 아래 새롭게 불렸다. 거리에는 유럽식 건물과 관청이 들어섰고, 베트남의 전통은 서양식 근대와 겹쳐졌다. 전쟁과 독립, 사회주의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명칭이 아니다. 그것은 시대의 이상과 가치, 그리고 인간이 꿈꾸는 미래를 담은 상징이다. 샌프란시스코와 코펜하겐, 두 도시는 서로 다른 대륙에 자리하고 있지만, 기술과 자연, 창조와 지속가능성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인의 상상 속에 살아 있다. 여행자가 그 이름의 기원을 알고 도시를 걷는다면, 금문교의 철골과 니하운의 물결 속에서, 미래와 일상이 교차하는 순간을 마주하게 된다. 샌프란시스코는 서부 개척의 끝에서 혁신의 출발점으로, 코펜하겐은 북유럽의 항구에서 삶의 철학을 품은 도시로 변모했다. 두 도시의 이름은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시대의 이상을 반영한 정체성의 진화다. 오늘 우리는 그 이름의 흔적을 따라, 샌프란시스코와 코펜하겐으로 향한다. 샌프란시스코. /픽사베이 ◇ 샌프란시스코, ‘성 프란체스코’에서 ‘아이디어의 수도’로…창조의 이름을 품다 태평양을 마주한 언덕 위 도시를 바라보면, ‘성 프란체스코’를 기리는 종교적 이름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1776년,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곳에 미션을 세우며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골드러시와 철도 개통, 지진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구 도시 샤먼(厦门). 석양이 물든 하늘 아래, 연못 위 정자와 수놓인 연잎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진다. 저 멀리 솟아오른 두 개의 빌딩은 샤먼의 새로운 랜드마크 쌍둥이 빌딩(世茂海峡大厦, Shimao Straits Towers). 전통 정원 풍경과 현대 초고층 건축물이 한 화면에 담기며 샤먼의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보여준다. 해안가에서 바라본 트윈타워는 또 다른 매력을 발산한다. 잔잔한 물결 위로 반사되는 건물의 실루엣은 도시와 바다가 이어지는 풍경을 만들어낸다. 돛을 형상화한 두 개의 타워는 샤먼이 지닌 해양 도시의 정체성을 상징하듯 우뚝 서 있다. 샤먼은 ‘해상의 정원 도시’라 불리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구랑위(鼓浪屿, Gulangyu)와 함께 중국 남부 여행지로 사랑받고 있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풍경은 여행자들에게 색다른 감흥을 선사한다.
[뉴스트래블=편집국] 정부는 2026년 외래 관광객 1,500만 명 유치를 공언했다. 화려한 목표다. 그러나 겉만 번지르르하다. 2024년 방한 외래객은 약 1,100만 명(문화체육관광부). 팬데믹 이전의 70% 수준이다. 회복세는 반갑지만, 구조적 문제는 여전하다. 첫째, 수도권과 제주 편중. 한국관광공사 자료에 따르면 외래객의 70~75%가 이 지역에 몰린다. 지방은 텅 빈다. 관광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일부 지역은 숙박시설이 폐쇄되는 반면, 인기 관광지는 과밀화 문제를 겪는다. 둘째, OTA 종속. 한국호텔업협회 조사(2024년)는 국내 호텔의 60% 이상이 외국계 OTA 의존도를 ‘과도’하다고 답했다. 예약 수수료 부담으로 수익 구조는 왜곡되고, 국내 플랫폼 경쟁력은 약화된다. 셋째, 인력 붕괴. 한국관광협회중앙회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업계 종사자가 30% 줄었다. 젊은 세대는 떠나고, 남은 인력은 지쳐 있다. 전문 인력 부족은 서비스 질 저하와 직결된다. 그럼에도 정부는 ‘몇 명 유치’만 강조한다. 정책의 잣대가 오직 숫자다. 그러나 관광은 단순한 집계가 아니다. 문화와 지역, 그리고 사람이 중심이다. 세계경제포럼(WEF, 2025년 7월) 보고
(오스트리아=뉴스트래블) 차우선 기자 산트 길겐, 모차르트 하우스(Mozart Haus)에서 시작된 음악의 여정 노란 외벽과 하얀 창틀 그리고 창문마다 자리한 모차르트 가족의 초상은 이곳이 단순한 건물이 아닌 음악의 성지임을 말해준다. 산트 길겐의 시청은 모차르트 하우스와 함께 마을의 역사적·문화적 흐름을 이어주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건물 앞에는 작은 분수와 조각상, 산트 길겐의 행정 중심지이자 지역 주민과 관광객을 위한 공공 서비스 공간이다. 예술의 충돌, 잘츠부르크의 광장 다음으로 마주한 광장은 고전과 현대가 공존하는 예술의 무대였다. 중앙의 화려한 분수는 신화적 조각과 물줄기로 생동감을 더했고, 그 주변을 둘러싼 거대한 머리 조각상들은 전통적인 풍경 속에 현대적 사유의 흔적을 남겼다. 돔과 시계탑이 어우러진 건축물들...,그리고 공사 중인 크레인의 모습은 이 도시가 과거를 품고 미래로 나아가는 중임을 보여준다. ️ 하늘에서 내려다본 잘츠부르크의 품격. 마지막 사진은 잘츠부르크의 전경을 담은 장면이다. 푸른 돔과 쌍탑이 인상적인 잘츠부르크 대성당, 그 주변을 감싸는 고풍스러운 건물들, 그리고 도시를 가로지르는 잘자흐 강(Salzach River)의 흐름은
(라오스=뉴스트래블) 박민영 기자 = 느림의 미학이 깃든 나라 '라오스'는 동남아시아 유일의 내륙국이다. 시장경제를 도입한 공산국가(사회주의 국가)로, 수도 비엔티안을 중심으로 총 16개 주로 이루어져 있다. 공산주의 국가임에도 전체 인구의 약 60%가 상좌부 불교를 믿는 불교 국가다. 그러다보니 불교 유적이 도시 곳곳에 있다. 수도 비엔티안에는 라오스에서 가장 신성시 되는 불교 탑이 있다. 바로 위대한 탑으로 통하는 '탓 루앙'이다. 탓 루앙은 라오스의 국장과 지폐에도 있다. 탓 루앙은 16세기에 세워졌다. 매년 11월이면 라오스 최대 종교 축제 '탓 루앙 축제'가 열린다. 탓 루앙은 원래 모두 황금으로 만들어 졌었다. 하지만 침략당해 파괴된 후 복원 시 제일 꼭대기 부분만 금으로 하고 나머지는 금칠된 상태다. 탓 루앙의 남북으로 사원이 하나씩 있다. 남쪽에 있는 왓 탓 루앙 타이 사원에는 황금색의 거대한 와불이 누워있고, 북쪽에 있는 왓 탓 루앙 느아 사원에는 라오스 불교의 최고지도자가 있는 빨간 지붕의 화려한 사원이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인천 강화군 교동면에 위치한 ‘화개정원’이 가을의 정취 속에서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 형형색색의 꽃과 나무가 어우러진 정원 입구에는 ‘화개정원’이라는 이름이 새겨진 감각적인 간판이 자리하고, 그 주변을 둘러싼 돌담과 식물들이 정원의 품격을 더한다. 간판에는 녹색과 흰색의 잎 모양 로고와 나무 문양이 담겨 있어, 자연과 생태를 상징하는 정원의 철학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곳은 단순한 정원을 넘어 지역의 이야기와 문화가 스며든 공간으로,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2025 강화 화개정원 축제’가 열려 더욱 활기를 띨 예정이다. 축제 기간 동안에는 박혜경, 양지은 등 인기 가수들의 공연과 시민노래방, 반려 화분 만들기, 종이꽃꽂이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돼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 지역 주민들이 직접 준비한 농·특산물 플리마켓도 열려 풍성한 먹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한다. 정원에서 조금 떨어진 언덕 위에는 미래적인 디자인의 전망 구조물이 눈길을 끈다. 원형의 관람 데크와 기울어진 지지대, 중앙 마스트로 구성된 이 구조물은 강화도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관광객에게 색다른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맑은 하늘 아래 펼쳐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