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트래블=손현미 기자] 한국관광공사가 지역과 교감하는 체류형 여행과 청소년 대상 K-교육관광 모델을 통해 국내 관광 콘텐츠의 다변화에 나선다. 공사 경인지사는 협동조합 청풍과 함께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강화도에서 ‘바닷가 북피크닉’을 운영한다. 이 상품은 지역 예술인과 책방, 로컬 상점 등이 참여해 여행자와 교류하는 체류형 프로그램으로, 북토크, 바닷가 요가, 돈대 콘서트 등 해양자원과 연계한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다. 공사는 이를 통해 지역과의 교감과 관계인구 확산을 도모하며 인구소멸 대응에 기여할 방침이다. 한편, 공사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인기를 활용한 한국형 교육관광 모델도 적극 추진 중이다. 호주 버큼힐고등학교 학생단체는 지난 9월 말부터 12박 13일간 케데헌 관련 관광지와 K-컬처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을 방문했으며,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테마와 K-컬처를 결합한 수학여행 모델도 개발 중이다. 올해 구미대양주 지역에서만 1만 명 이상의 학생 유치가 예상되며, 공사는 러시아 등 해외 수요 확대에도 대응하고 있다.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시대의 기억을 품는다. 한때 제국의 중심이었거나, 분단의 상징이었던 이름들은 시간이 흐르며 새로운 의미를 얻는다. 상하이와 베를린, 두 도시는 서로 다른 대륙에서 태어났지만 ‘변화’라는 이름 아래 닮아 있다. 상하이는 바다를 향해 열렸고, 베를린은 벽을 넘어섰다. 이름은 시대의 상처를 품었지만, 두 도시는 그 상처를 미래의 언어로 다시 써 내려가고 있다. 이름의 기원을 따라가면 도시의 운명이 보인다. 상하이(上海)는 문자 그대로 ‘바다 위’를 뜻한다. 강과 바다가 만나는 황푸강 하구의 작은 어촌이었던 이곳은, 바다로 나아간 이름처럼 세계로 열린 도시로 성장했다. 베를린(Berlin)은 슬라브어 ‘베를(Berl)’에서 유래해 ‘습지’ 혹은 ‘늪’을 뜻한다. 물 위에서 태어난 도시는 산업의 물결과 이념의 격랑을 헤치며, 오늘날 유럽의 중심으로 다시 섰다. ◇ 상하이, 바다의 이름에서 세계의 이름으로 상하이는 중국 근대의 문을 연 도시다. 19세기 아편전쟁 이후 개항되면서 서양의 자본과 문화가 밀려들었고, 조계지 시대를 거치며 동서양이 교차하는 공간이 됐다. 이름 그대로 ‘바다 위의 도시’는 세계로 향하는 출발점이자, 중국
[뉴스트래블=차우선 기자] 사막과 빙하, 화산과 포도밭이 공존하는 이곳은 자연의 스펙트럼만큼이나 복잡한 역사를 품고 있다. 산티아고의 세련된 거리와 파타고니아의 장엄한 절경은 여행자의 로망이지만, 그 이면에는 사회 불안과 치안 문제, 불평등이 여전히 남아 있다. 칠레는 한국보다 12시간 늦으며, 여름철(10월~3월)에는 서머타임을 적용해 시차가 11시간으로 줄어든다. 통화는 칠레 페소(CLP), 전력은 220V / 50Hz로 한국 전자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치안과 안전 상황칠레는 남미 국가 중 비교적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지만, 최근 몇 년간 사회 불안이 커지고 있다. 2019년 이후 시위와 폭동이 반복됐고, 2024년에도 산티아고 중심가와 발파라이소 등지에서 물가 상승·범죄 대응을 둘러싼 시위가 산발적으로 이어졌다. 미국 국무부는 현재 칠레에 대해 'Level 2 - Exercise Increased Caution(주의 강화)'를 유지 중이다. 치명적인 폭력 범죄보다는 절도·날치기·차량 내 도난 사건이 빈번하다. 특히 공항, 버스터미널, 지하철역, 관광지(세로 산 크리스토발, 벨라비스타 거리 등)에서는 외국인을 노린 소매치기가 자주 발생한다. 운
[뉴스트래블=차우선 기자] 남미 대륙 남단, 대서양 바다를 마주한 우루과이는 ‘가장 조용한 남미’로 불린다. 몬테비데오의 해안도로 람블라와 콜로니아 델 사크라멘토의 돌길 골목은 여유와 평화의 상징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고요함 속에서도 외국인을 노린 소매치기와 절도 사건은 여전히 존재한다. 남미의 열정이 잦아든 듯한 이 땅에서도 방심은 금물이다. 우루과이는 한국보다 12시간 느리며, 10월 둘째 주 일요일부터 3월 둘째 주 일요일까지는 서머타임을 적용해 11시간 차이가 난다. 통화는 우루과이 페소(UYU)이며, 신용카드 사용이 널리 보급돼 있지만 소액 현금도 필요하다. 전력은 220V / 50Hz, 콘센트는 C형 또는 F형으로 한국 전자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치안과 안전 상황우루과이는 남미에서 비교적 안정된 국가로 평가받는다. 전쟁, 내란, 테러 위험은 낮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외국인을 노린 절도, 날치기, 가택 침입 사건이 늘고 있다. 특히 수도 몬테비데오 구시가지(Ciudad Vieja)와 항구 인근은 범죄가 집중되는 지역으로, 밤늦은 시간이나 인적이 드문 골목길을 혼자 다니는 것은 피해야 한다. 차량 강탈도 발생한다. 정차 중 오토바이 강도
[뉴스트래블=차우선 기자] 카리브 해의 맑은 바다와 마야 유적이 공존하는 온두라스. 테구시갈파의 고원지대와 북부 해안의 베이 아일랜드는 여행자의 눈을 사로잡지만, 그 평화로운 풍경 뒤에는 조직범죄와 사회 불안이 깊게 드리워져 있다. 온두라스는 낙원처럼 보이지만, 현실은 방심을 허락하지 않는 땅이다. 온두라스는 한국보다 15시간 느리며, 통화는 렘피라(Lempira, HNL)를 사용한다. 공용어는 스페인어, 전력은 110V / 60Hz(A·B형 콘센트)로, 전자제품 사용 시 어댑터가 필요하다. ◇ 치안과 안전 상황 미국 국무부는 온두라스 전역에 대해 '여행 재고(Reconsider Travel, Level 3)'를 권고하고 있으며, 동부 Gracias a Dios 주 등 일부 지역은 ‘여행 금지’ 수준으로 분류한다. 한국 외교부 역시 수도 테구시갈파와 산업도시 산페드로술라를 중심으로 ‘여행자제(2단계)’ 경보를 유지 중이다. 온두라스의 살인율은 인구 10만 명당 약 32명(2024년 기준)으로 중미 상위권이다. 총기 소지가 자유롭고, 갱단과 마약 조직의 세력이 강하다. 대도시뿐 아니라 관광지인 베이 아일랜드에서도 외국인을 노린 절도·강도 피해가 보고된다. 특히
[뉴스트래블=정국환 기자] 전주는 느림의 미학이 살아 있는 도시다. 한옥마을 골목에 들어서면 기와 지붕 사이로 햇살이 스며들고, 오래된 돌담길을 따라 커피 향이 천천히 흐른다. 익숙한 풍경 속에서도 매번 새롭다. 여행자는 골목을 걷는 속도만큼 마음이 가라앉는다. 그 풍경의 정서를 따라가면 교토의 장면이 겹쳐진다. 좁은 골목마다 붉은 단풍이 깔리고, 종소리와 함께 나무문이 살짝 열린다. 기요미즈데라에서 바라보는 도시의 전경은 마치 전동성당 종탑에서 내려다본 전주 시내처럼 고요하다. 두 도시는 각자의 언어로 ‘시간이 천천히 흐르는 법’을 가르친다. 오래된 골목이 품은 시간의 향 전주의 한옥마을은 700여 채의 한옥이 모여 형성된 국내 최대의 전통 주거지다. 낮에는 관광객으로 북적이지만, 해가 지면 다시 고요가 찾아온다. 담벼락 사이를 비추는 조명 아래로 한복 차림의 여행자들이 천천히 걷는다. 한옥의 선과 그림자가 맞닿는 장면은 어느 순간 예술이 된다. 교토의 거리도 비슷하다. 히가시야마 지구의 골목에는 수백 년 된 상점과 찻집이 늘어서 있다. 대나무로 엮은 울타리, 낮은 목조 건물, 그리고 거리마다 흐르는 전통 음악. 교토의 주민들은 그 속에서 일상을 살아간다.
[뉴스트래블=박성은 기자] '한 달 살기'라는 여행 트렌드는 단순 관광을 넘어 현지에서 생활하며 문화를 체험하고 일상을 경험하는 장기 체류형 여행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체류 기간이 길어질수록 숙소와 식비, 안전, 의료 인프라, 인터넷 환경 등 현실적인 요소가 체류 만족도를 좌우한다. 감성만으로는 한 달을 버티기 어렵다는 점이 분명하다. 이번 조사는 한국인이 장기 체류에 적합한 국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글로벌 지수인 Numbeo, Mercer, EIU를 종합했다. 생활비, 안전, 삶의 질, 의료 접근성, 인터넷 속도, 비자 유연성 등 여섯 가지 핵심 지표를 기준으로 2025년 한 달 살기 최적 국가 Top10을 선정했다. 단순 인기 순위가 아니라, 현실적인 장기 체류 적합성을 수치로 환산한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조사에서는 생활비, 안전, 삶의 질, 의료 접근성, 인터넷 속도, 비자 유연성 등 여섯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국가별 점수를 산출했다. 각 항목에는 장기 체류 관점에서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한국과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점수를 환산했다. 이를 통해 단순 물가 비교가 아니라, 실제 생활의 질과 안전, 편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평가를 가
[뉴스트래블=김남기 기자] 글로벌 럭셔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노부 호스피탈리티(Nobu Hospitality)가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의 이스트 뱅크(East Bank) 지구에 노부 호텔 및 레스토랑 내슈빌(Nobu Hotel and Restaurant Nashville)을 개발한다고 9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오라클(Oracle) 캠퍼스 개발의 일환으로, 컴버랜드(Cumberland) 강변에 위치해 내슈빌의 역동적인 성장 지역에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예정이다. 호텔은 세계적인 건축 회사 포스터 + 파트너스(Foster + Partners)와 협업해 설계되며, 총 120개의 객실과 스위트룸이 들어선다. 일본 미학과 현대적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는 인테리어가 특징이다. 호텔 내에는 노부 셰프의 시그니처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 다목적 회의 및 이벤트 공간, 로비 카페, 최고급 피트니스 센터와 스파가 마련된다. 최상층에는 내슈빌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인피니티 루프톱 수영장이 조성되며, 음식과 음료도 함께 제공된다. 노부 호텔 내슈빌은 브로드웨이 밤거리, 컨트리 뮤직 명예의 전당, 리만 오디토리움, 닛산 스타디움 등 주요 명소와 인접해 접근성이 뛰어나
[뉴스트래블=박민영 기자] 도시의 이름은 자연과의 지난한 관계를 기록한 고문서다. 어떤 이름은 자연을 다스리려 했던 인간의 의지를 담고, 또 어떤 이름은 자연의 축복에 감사하는 찬사로 남는다. 도시가 발을 디딘 땅과 마주한 물길, 불어오는 바람은 이름 속에 가장 원초적인 정체성으로 새겨진다. 암스테르담과 부에노스아이레스, 두 도시는 이름의 어원부터 그들이 마주했던 자연 환경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시간이 흐르며 자연을 대하는 태도는 변했지만, 이름에 새겨진 그 태도는 여전히 도시의 문화와 운명을 규정한다. 물을 막아 땅을 얻은 곳과, 좋은 바람을 찾아 정박한 곳. 여행자가 두 도시의 운하와 항구를 바라볼 때, 그 풍경은 단순한 지리가 아니라 이름이 만든 서사로 다가온다. 오늘 우리는 ‘자연’이라는 이름을 따라, 바람과 물의 길 위에 선다. ◇ 암스테르담, 물을 다스려 얻은 개척의 이름 네덜란드의 심장 암스테르담은 이름 자체가 '인간의 의지'를 상징한다. 이름의 어원은 명확하다. '암스텔(Amstel) 강'과 그 강을 막은 '댐(Dam)'의 결합이다. 13세기, 홍수로부터 땅을 보호하고 무역로를 확보하려 했던 개척자들은 댐을 쌓았고, 도시는 물과의 치열한 투쟁
[뉴스트래블=김남기 기자] 글로벌 호텔 그룹 아코르(Accor)가 스탠다드 텍스타일(Standard Textile)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자사의 럭셔리 브랜드인 페어몬트(Fairmont), 소피텔 레전드(Sofitel Legend), 소피텔(Sofitel), 엠갤러리 컬렉션(MGallery Collection)의 객실 침구 및 욕실 리넨 공식 공급업체로 마시오니 호텔 컬렉션(Mascioni Hotel Collection)을 지정했다. 이번 협업은 전 세계 350여 개 호텔에 적용되며, 프리미엄 코튼으로 제작된 마시오니의 맞춤형 리넨은 각 브랜드의 고유한 정체성에 맞춰 디자인된다. 소피텔은 프랑스식 우아함, 엠갤러리는 현대적 감각, 페어몬트는 세련된 럭셔리를 강조한다. 아코르 측은 이번 파트너십이 고객에게 탁월한 편안함과 우아함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시오니 호텔 컬렉션은 유럽 OEKO-TEX 스탠다드 100 인증을 받아 안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입증했다. 마시오니는 1957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호텔 전용 리넨 브랜드로, 2018년 스탠다드 텍스타일에 인수됐다. 스탠다드 텍스타일은 1940년 설립된 글로벌 섬유 기업으로, 의료 및 호